지금 로그인하면
무료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 칼럼
- 인사이트 칼럼
거래 경험 TOP2는 카카오뱅크, 토스? MZ세대의 주거래 은행은 따로 있다!
2022.03.30
│
3,096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재테크에 관심 갖는 MZ세대가 늘면서 금융권의 이목은 이들에게 쏠리고 있습니다. 접근성이 좋은 인터넷 은행은 대출 서비스를 확장하고, 기존 은행은 앱 서비스를 개편하는 등 1020 고객을 폭넓게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입니다. (관련 콘텐츠 : 새롭게 변신 중인 금융앱에 대한 1020의 반응은?)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지난 25일 MZ세대의 재테크를 향한 관심을 반영해 관련 인사이트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는데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그중 MZ세대가 이용하는 은행과 증권사, 최근 주목 받는 자산통합관리서비스(마이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1년 이내 거래 경험이 있는 은행으로는 ‘카카오뱅크(59.3%, 1위)’, ‘토스(43.9%, 2위)’가 전통은행을 모두 제치고 선두를 차지했습니다. 전통은행 중에서 MZ세대 고객층에서 강세를 보인 은행은 ‘KB 국민은행’이었어요. KB 국민은행은 최근 1년 이내 거래를 경험한 비율이 43.6%로 3위에 올라 1, 2위를 차지한 인터넷 은행 뒤를 이었고, 주거래 은행에서는 1위(19.1%)로 나타나 큰 존재감을 보였습니다.
주로 거래하는 은행으로는 KB 국민은행과 더불어 ‘신한은행(15.3%)’, ‘NH농협은행(14.8%)’ 등 기존 전통은행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편이었고, 카카오뱅크(4위, 14.9%)와 토스(6.1%)는 주거래 은행 이용률이 경험률에 비해 낮은 비율로 나타났습니다.
재테크에 관심 갖는 MZ세대가 늘면서 금융권의 이목은 이들에게 쏠리고 있습니다. 접근성이 좋은 인터넷 은행은 대출 서비스를 확장하고, 기존 은행은 앱 서비스를 개편하는 등 1020 고객을 폭넓게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입니다. (관련 콘텐츠 : 새롭게 변신 중인 금융앱에 대한 1020의 반응은?)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지난 25일 MZ세대의 재테크를 향한 관심을 반영해 관련 인사이트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는데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그중 MZ세대가 이용하는 은행과 증권사, 최근 주목 받는 자산통합관리서비스(마이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1년 이내 거래 경험이 있는 은행으로는 ‘카카오뱅크(59.3%, 1위)’, ‘토스(43.9%, 2위)’가 전통은행을 모두 제치고 선두를 차지했습니다. 전통은행 중에서 MZ세대 고객층에서 강세를 보인 은행은 ‘KB 국민은행’이었어요. KB 국민은행은 최근 1년 이내 거래를 경험한 비율이 43.6%로 3위에 올라 1, 2위를 차지한 인터넷 은행 뒤를 이었고, 주거래 은행에서는 1위(19.1%)로 나타나 큰 존재감을 보였습니다.
주로 거래하는 은행으로는 KB 국민은행과 더불어 ‘신한은행(15.3%)’, ‘NH농협은행(14.8%)’ 등 기존 전통은행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편이었고, 카카오뱅크(4위, 14.9%)와 토스(6.1%)는 주거래 은행 이용률이 경험률에 비해 낮은 비율로 나타났습니다.
증권사 중에서는 최근 1년 이내 이용 경험 1위와 주 이용 1위 자리 모두 ‘한국투자증권(각 29.7%, 15.9%)’이 차지했습니다. 토스증권은 최근 1년 이내 이용 경험이 있는 증권사에서 ‘한국투자증권’, ‘KB증권’에 이어 3위(24.5%)를 차지해 인터넷 전문 증권사 중에서 눈에 띄었는데요.
<2022 MZ세대의 재테크 이용 행태 및 인식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주 이용 증권사를 처음 이용하게 된 계기로는 ‘마케팅 이벤트 참여(15.2%)’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습니다. 계좌 개설 시 주식 1주를 랜덤으로 지급하거나, 특정 기간에 가입 시 거래 대금당 수수료를 낮추어주는 등의 다양한 이벤트가 영향을 미친 모습입니다.
은행 앱을 이용하시면 곳곳에서 ‘마이데이터’라는 키워드를 자주 접하실 텐데요. 마이데이터는 여러 금융 기관에 흩어져 있는 금융 자산 정보 및 지출 내역 등의 신용 정보를 한곳에 모아주는 자산통합관리서비스를 말합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금융사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가입해 자신의 신용 정보를 관리할 권한을 넘겨주면,행정기관을 거치지 않고 서비스 내에서 자신의 금융 정보를 한눈에 검토하고 자산 현황을 분석할 수 있어요. 이달 초 금융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마이데이터(자산통합관리서비스)는 출범한지 두 달 만에 누적 가입자 수가 1,84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 부쩍 주목받는 금융 서비스로 알려졌습니다.
그렇다면 MZ세대는 이를 얼마나 인지하고, 이용하고 있을까요? MZ세대 성인 5명 중 3명(63.3%)이 자산통합관리서비스를 인지하고 있었고, 이들 중 66.9%가 이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신한은행, 뱅크샐러드, 토스, 카카오페이 등 MZ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마이데이터 브랜드가 궁금하시다면 해당 보고서에서 그 순위와 향후 이용 의향을 확인해 보세요!
MZ세대가 이용하는 은행, 증권사 외에도 재테크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및 성향, 카드 이용행태 및 카드 브랜드 이미지, 보험, 대출 관련 인식 등 금융·재테크 분야의 상세한 데이터 인사이트는 대학내일20대연구소 홈페이지의 연구 자료 내 <2022 MZ세대의 재테크 이용 행태 및 인식 변화> 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2022 MZ세대의 재테크 이용 행태 및 인식 변화> 에는 이런 내용이 있어요
- Z세대가 생각하는 재테크 방법
- 주요 재테크 정보 습득 경로 및 내용
- 재테크 관련 콘텐츠 시청 및 인플루언서 상기도
- Z세대가 인터넷 전문 은행을 애용하는 이유
- 마이데이터 서비스 이용 시 고려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