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주제
발행연도
~
자료유형
데이터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데이터플러스

[데이터플러스] 소비-일반(2022년 7월)

2022.07.13
5,499
제공형태
엑셀
판매가
500,000원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위 파일은 샘플입니다.
아이콘 클릭 시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이용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플러스는 '성별, 연령, 세대, 세대별 성별, 거주지역, 직업, 경제활동 유무, 반려동물 유무, 가구구성, 소득별' 비교 결과를 포함함

(2022년부터 데이터플러스에 세대별 성별 배너가 추가됩니다)


Part A. 소비행태

만 19세 이상 MZ세대의 월 평균 지출액115.5만원, 남성은 104.8만원, 여성은 127만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22.2만원 더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출 항목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식비로, 월 평균 30.4만원을 지출하고 있었습니다. 온라인 콘텐츠는 월 평균 1.4만원으로, 넷플릭스 스탠다드 멤버십 요금(13,500원) 정도의 비용을 지출하고 있었습니다.


의류, 화장품, 식음료, 주류, 생활용품, 인테리어 소품, 디지털IT기기, 생활가전 등 품목별 주요 구매 채널에 대해서도 알아봤는데요. 의류종합 온라인 쇼핑몰(52.0%)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이어서 온라인 편집숍(29.0%), 오프라인 아울렛(21.6%) 순이었습니다. 다만, Z세대의 경우에는 온라인 편집숍이 44.3%로 1위를 차지했고, 후기 밀레니얼은 27.1%, 전기 밀레니얼은 13.3%로 연령이 높은 세대일수록 온라인 편집숍 이용률이 현저히 떨어졌습니다. 화장품 구매처 또한 ‘종합 온라인 쇼핑몰’이 41.9%로 1위에 올랐고, 이어서 ‘오프라인 H&B스토어’가 33.8%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세대별로는 서로 상반된 결과가 나왔습니다. ‘종합 온라인 쇼핑몰’은 Z세대 24.6%, 후기 밀레니얼 46.5%, 전기 밀레니얼 57.5%로 세대가 올라갈수록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오프라인 H&B스토어’는 Z세대(39.9%)와 후기 밀레니얼(37.6%)은 이용률은 높았지만 전기 밀레니얼은 23.6%로 이용률이 크게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Part G.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 행태

2021년 12월 조사에서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이 MZ세대의 일상에 자리 잡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최근에는 카카오톡으로 기프티콘을 발송하는 것 외에도, 여러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직접 집으로 상품을 배송하는 ‘선물하기 기능’ 이용이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매장에 직접 방문해 제품으로 교환하는 기프티콘 형태가 아닌, 원하는 주소지로 직접 물건을 배송해 주는 ‘선물하기 기능’ 이용 행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타인에게 선물할 때, 직접 전달과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을 비교했는데요. 직접 전달을 더 자주 이용하는 경우는 10.2%, 온라인 쇼핑몰의 ‘선물하기 기능’을 더 자주 이용하는 경우는 66.7%로 나타났습니다. ‘선물하기 기능’을 한 달에 한 번 이상 확인하는 경우도 46.8%에 달해, ‘선물하기 기능’이 MZ세대 일상에 자리 잡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모바일 교환권 경험자의 77%는 이러한 기능이 친목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직접 구매 후 전달보다 합리적이라는 인식(긍정응답율 63.3%)도 있었습니다. 다만, 직접 구매와 같은 정도의 정성이라는 의견에는 중립적(55.9%)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외에도 MZ세대의 소비 습관과 소비 가치에 대한 인식, 리셀 플랫폼 이용 경험 및 리셀에 대한 이미지, 래플 참여 경험, 명품에 대한  전반적 인식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호영성 수석연구원


*소비-일반(2021년 12월) 조사와 달리, 소비-일반(2022년 7월) 조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조사대상 및 조사항목이 변경되었습니다.
- 조사대상 : 만 15~40세에서 만 15~41세로 확대 (MZ세대 전체를 포함하기 위함)

- 추가된 조사항목
1.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 행태 (Part G)
2. 래플 이용 행태 (Part H)
3. 주요 명품 신발 브랜드 이미지 (F23, F34)

- 제외된 조사항목
1. 기프티콘 소비행태 (Part E) : 일부 문항 Part G로 이동  


*본 보고서는 [반기·연간 단위로 트래킹하는 문항]과 [일회성 기획 문항]이 함께 있어

파트 번호 및 문항 번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번호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거주지역 (단수)


Part A 소비 행태, 습관 및 성향
A1. 한 달 평균 지출 금액 (만 15-18) 단위 : 만 원 (주관식)
A1. 한 달 평균 지출 금액 (만 19-41)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1) 교통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2) 통신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3) 학습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4) 식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5) 의류·의류잡화·화장품·이미용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6) 온라인 콘텐츠, 모바일 앱 서비스, 소프트웨어 등 이용료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7) 여가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8) 기타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1) 교통비 / 단위 : %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2) 통신비 / 단위 : %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3) 학습비 / 단위 : %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4) 식비 / 단위 : %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5) 의류·의류잡화·화장품·이미용비 / 단위 : %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6) 온라인 콘텐츠, 모바일 앱 서비스, 소프트웨어 등 이용료 / 단위 : %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7) 여가비 / 단위 : %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8) 기타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1) 주거비 및 공과금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2) 교통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3) 통신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4) 의료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5) 교육비·학습비·자기계발비 (대학등록금 제외)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6) 식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7) 생활용품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8) 의류·의류잡화·화장품·이미용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9) 온라인 콘텐츠, 모바일 앱 서비스, 소프트웨어 등 이용료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10) 여가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11) 경조사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12) 금융비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금액] 13) 기타 / 단위 : 만 원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1) 주거비 및 공과금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2) 교통비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3) 통신비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4) 의료비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5) 교육비·학습비·자기계발비 (대학등록금 제외)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6) 식비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7) 생활용품비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8) 의류·의류잡화·화장품·이미용비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9) 온라인 콘텐츠, 모바일 앱 서비스, 소프트웨어 등 이용료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10) 여가비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11) 경조사비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12) 금융비 / 단위 : % (주관식)
A2-2. (만 19-41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비중] 13) 기타 / 단위 : % (주관식)
A3. 평소 소비 습관 1) 계획 소비 (4점 척도)
A3. 평소 소비 습관 2) 절약 소비 (4점 척도)
A3. 평소 소비 습관 3) 충동 구매 (4점 척도)
A3. 평소 소비 습관 4) 과소비 (4점 척도)
A4. 계획 소비 및 절약 소비 관련 평소 습관 (복수)
A5. 충동 구매 및 과소비 관련 평소 습관 (복수)
A6. 최근 6개월 이내 의류·의류잡화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6. 최근 6개월 이내 의류·의류잡화 구매 여부 (구매 안 함 응답 구분, 단수)
A6. 최근 6개월 이내 의류·의류잡화 주요 구매처 (구매 안 함 응답 제외, 복수, 최대 3개)
A7. 최근 6개월 이내 화장품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7. 최근 6개월 이내 화장품 구매 여부 (구매 안 함 응답 구분, 단수)
A7. 최근 6개월 이내 화장품 주요 구매처 (구매 안 함 응답 제외, 복수, 최대 3개)
A8. 최근 6개월 이내 식품·음료 제품(주류 제외)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8. 최근 6개월 이내 식품·음료 제품(주류 제외) 구매 여부 (구매 안 함 응답 구분, 단수)
A8. 최근 6개월 이내 식품·음료 제품(주류 제외) 구매처 (구매 안 함 응답 제외, 복수, 최대 3개)
A9. 최근 6개월 이내 주류 제품(술)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9. 최근 6개월 이내 주류 제품(술) 구매 여부 (구매 안 함 응답 구분, 단수)
A9. 최근 6개월 이내 주류 제품(술) 주요 구매처 (구매 안 함 응답 제외, 복수, 최대 3개)
A10. 최근 6개월 이내 생활용품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10. 최근 6개월 이내 생활용품 구매 여부 (구매 안 함 응답 구분, 단수)
A10. 최근 6개월 이내 생활용품 주요 구매처 (구매 안 함 응답 제외, 복수, 최대 3개)
A11. 최근 6개월 이내 인테리어 소품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11. 최근 6개월 이내 인테리어 소품 구매 여부 (구매 안 함 응답 구분, 단수)
A11. 최근 6개월 이내 인테리어 소품 주요 구매처 (구매 안 함 응답 제외, 복수, 최대 3개)
A12. 최근 6개월 이내 디지털·IT기기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12. 최근 6개월 이내 디지털·IT기기 구매 여부 (구매 안 함 응답 구분, 단수)
A12. 최근 6개월 이내 디지털·IT기기 주요 구매처 (구매 안 함 응답 제외, 복수, 최대 3개)
A13. 최근 6개월 이내 생활가전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13. 최근 6개월 이내 생활가전 구매 여부 (구매 안 함 응답 구분, 단수)
A13. 최근 6개월 이내 생활가전 주요 구매처 (구매 안 함 응답 제외, 복수, 최대 3개)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1) 가격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2) 품질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3) 기능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4) 제품 외형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5) 구매 접근성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6) 브랜드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7) 신념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8) 만족감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9) 취향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10) 지지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11) 사회적 이슈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12) 편의 (7점 척도)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13) 인증 (7점 척도)


Part B 新 소비유형의 소비행태 : 전반
B1. 7가지 소비유형 인지도(모바일교환권, 중고매매, 인플루언서마켓, 공유서비스, 크라우드펀딩, 리셀, 래플) (복수)
B2. 7가지 소비유형 경험여부(모바일교환권, 중고매매, 인플루언서마켓, 공유서비스, 크라우드펀딩, 리셀, 래플) (복수)
B29. 7가지 소비유형 최근 6개월 내 경험여부(모바일교환권, 중고매매, 인플루언서마켓, 공유서비스, 크라우드펀딩, 리셀, 래플) (복수)
B28. 7가지 소비유형 향후 6개월 내 이용 의향 1) 모바일 교환권 (5점 척도)
B28. 7가지 소비유형 향후 6개월 내 이용 의향 2) 중고 구매(중고 자동차 제외) (5점 척도)
B28. 7가지 소비유형 향후 6개월 내 이용 의향 3) 중고 판매(중고 자동차 제외) (5점 척도)
B28. 7가지 소비유형 향후 6개월 내 이용 의향 4) 인플루언서 마켓(SNS 마켓) (5점 척도)
B28. 7가지 소비유형 향후 6개월 내 이용 의향 5) 공유 서비스 (5점 척도)
B28. 7가지 소비유형 향후 6개월 내 이용 의향 6) 후원형(리워드형) 크라우드 펀딩 (5점 척도)
B28. 7가지 소비유형 향후 6개월 내 이용 의향 7) 리셀(리세일) (5점 척도)
B28. 7가지 소비유형 향후 6개월 내 이용 의향 8) 래플 (5점 척도)


Part G 新 소비유형의 소비 행태 : 온라인 '선물하기 기능'
G1. 타인에게 선물할 때 더 자주 이용하는 방식 - 직접 전달 vs.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 (7점 척도)
G2.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 빈도 (단수)
G3.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해 본 플랫폼 (복수)
G4.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 시 주 이용 플랫폼 (단수)
G5.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주 이용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 (복수, 최대 5개)
G6. 온라인 쇼핑물 `선물하기 기능` 이용 목적 (복수)
G7. 선물 받을 때 더 자주 이용하는 방식 - 직접 전달 vs.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 (7점 척도)
G8.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으로 선물 받는 빈도 (단수)
G9.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으로 선물 받는 것에 대한 만족도 (5점 척도)
G10.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에 대한 인식 1) 친목 유지 도움 (5점 척도)
G10.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에 대한 인식 2) 직접 구매와 같은 정성 (5점 척도)
G10.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에 대한 인식 3) 직접 구매보다 합리적 (5점 척도)
G10.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 이용에 대한 인식 4) 중대한 경조사만큼은 직접 선물 필요 (5점 척도)
G11. 온라인 쇼핑몰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할 의향이 있는 플랫폼 (복수)
G12. 카카오톡 `오늘 생일` 확인 여부 (단수)
G13. 카카오톡 `오늘 생일` 지인에게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이용해 선물 배송한 경험 (복수)
G14. 카카오톡 `오늘 생일` 지인에게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이용해 모바일 교환권 선물한 경험 (복수)
G15.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대한 인식 1) 연락 빈도 증감 여부 (5점 척도)
G15.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대한 인식 2) 선물 빈도 증감 여부 (5점 척도)
G16. 카카오톡 `위시리스트` 기능 인지 여부 (단수)
G17. 카카오톡 `위시리스트` 기능 이용 경험 (복수)


Part D 新 소비유형의 소비 행태 : 중고거래
D1. 최근 6개월 이내 중고구매 빈도 (중고 자동차 제외) (단수)
D2. 최근 6개월 이내 중고구매 품목 (중고 자동차 제외) (복수, 최대 5개)
D3. 중고로 구매한 이유 (중고 자동차 제외) (복수, 최대 3개)
D4. 동일한 제품 여러 판매자 중, 최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 (복수, 최대 2개)
D5. 최근 6개월 이내 중고판매 빈도 (중고 자동차 제외) (단수)
D6. 최근 6개월 이내 중고판매 품목 (중고 자동차 제외) (복수, 최대 5개)
D7. 중고 구매 또는 판매 시 이용해 본 채널 (복수)
D8. 중고거래 온라인 커뮤니티/플랫폼 이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복수, 최대 3개)
D9. 중고 거래 이용 경험 플랫폼 (복수)
D10. 중고 거래 시 주 이용 플랫폼 (단수)
D11. 중고 거래 시 주 이용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 (복수, 최대 3개)
D16. 중고거래 플랫폼에 대한 인식 1) 신뢰도 (5점 척도)
D16. 중고거래 플랫폼에 대한 인식 2) 재미 (5점 척도)
D16. 중고거래 플랫폼에 대한 인식 3) 커뮤니티 기능 선호 (5점 척도)
D17. 리셀 플랫폼 인지 (복수)
D18. 리셀 플랫폼 이용 경험 (복수)
D19. 리셀 플랫폼 이용 의향 (복수)
D20-1. 리셀 구매 횟수 (단수)
D20-2. 리셀 판매 횟수 (단수)
D21-1. 리셀 구매 시 최대 거래 금액 (단수)
D21-2. 리셀 판매 시 최대 거래 금액 (단수)
D22-1. 리셀 구매 경험 품목 (복수)
D22-2. 리셀 판매 경험 품목 (복수)
D13. 리셀에 대한 이미지 1) 똑똑 (5점 척도)
D13. 리셀에 대한 이미지 2) 트렌디 (5점 척도)
D13. 리셀에 대한 이미지 3) 안목 (5점 척도)
D13. 리셀에 대한 이미지 4) 마니아 (5점 척도)
D13. 리셀에 대한 이미지 5) 부지런 (5점 척도)
D14. 리셀에 대한 긍부정 인식 (5점 척도)


Part H 新 소비유형의 소비 행태 : 래플
H1. 최근 1년 이내 래플 참여 경험 빈도 (단수)
H2. 래플 참여를 위해 해 본 행동 (복수)
H3. 래플에 대한 인식 1) 공정 (5점 척도)
H3. 래플에 대한 인식 2) 참여하는 재미 (5점 척도)
H3. 래플에 대한 인식 3) 트렌디 (5점 척도)
H3. 래플에 대한 인식 4) 마니아 (5점 척도)
H3. 래플에 대한 인식 5) 부지런 (5점 척도)
H4. 한정판 구매 시 선호하는 방식 - 선착순 vs. 래플 (5점 척도)


Part F 명품에 대한 인식 및 소비 행태
F1. 명품 신발 최초 상기 (주관식)
F1. 명품 신발 상기 (주관식, 3개까지)
F2. 명품 가방 최초 상기 (주관식)
F2. 명품 가방 상기 (주관식, 3개까지)
F3. 보유하고 있는 명품 품목 (복수)
F4. 새 제품 구매 경험 품목 (복수)
F5. 중고 제품 구매 경험 품목 (복수)
F6. [명품신발]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F7. [명품신발] 명품 브랜드 조건 (복수, 최대 3개)
F8. [명품신발] 명품 브랜드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조건 (복수, 최대 3개)
F9. [명품신발] 명품 브랜드라고 생각하는 최소 금액 (주관식)
F10. [명품신발] 명품 브랜드 구매 시 최대 지불 의향 금액 (주관식)
F11. [명품신발] 명품 브랜드 구입 이유 (복수)
F12. [명품신발] 명품 브랜드 구매 결정 영향 채널 (복수, 최대 2개)
F13. [명품신발] 명품 구매 구매 결정 영향 콘텐츠 - 1순위
F13. [명품신발] 명품 구매 구매 결정 영향 콘텐츠 - 1+2순위
F13. [명품신발] 명품 구매 구매 결정 영향 콘텐츠 - 1+2+3순위
F23-1.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기능적 이미지 - 구찌
F23-2.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기능적 이미지 - 나이키
F23-3.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기능적 이미지 - 발렌시아가
F23-4.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기능적 이미지 - 샤넬
F23-5.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기능적 이미지 - 아디다스
F23-6.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기능적 이미지 - 프라다
F23-7.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기능적 이미지 - 루이비통
F23-8.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기능적 이미지 - 디올
F24-1.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성격 이미지 - 구찌
F24-2.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성격 이미지 - 나이키
F24-3.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성격 이미지 - 발렌시아가
F24-4.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성격 이미지 - 샤넬
F24-5.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성격 이미지 - 아디다스
F24-6.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성격 이미지 - 프라다
F24-7.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성격 이미지 - 루이비통
F24-8. [명품신발] 주요 8개 브랜드 성격 이미지 - 디올
F14. [명품가방]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F15. [명품가방] 명품 브랜드 조건 (복수, 최대 3개)
F16. [명품가방] 명품 브랜드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조건 (복수, 최대 3개)
F17. [명품가방] 명품 브랜드라고 생각하는 최소 금액 (주관식)
F18. [명품가방] 명품 브랜드 구매 시 최대 지불 의향 금액 (주관식)
F19. [명품가방] 명품 브랜드 구입 이유 (복수)
F20. [명품가방] 명품 브랜드 구매 결정 영향 채널 (복수, 최대 2개)
F21. [명품가방] 명품 구매 구매 결정 영향 콘텐츠 - 1순위
F21. [명품가방] 명품 구매 구매 결정 영향 콘텐츠 - 1+2순위
F21. [명품가방] 명품 구매 구매 결정 영향 콘텐츠 - 1+2+3순위
F22. 명품에 대한 인식 1) 관심 정도 (5점 척도)
F22. 명품에 대한 인식 2) 보유 필요성 (5점 척도)
F22. 명품에 대한 인식 3) 중저가 대비 보유 가치 (5점 척도)
F22. 명품에 대한 인식 4) 명품 인지도 중요성 (5점 척도)
F22. 명품에 대한 인식 5) 중고 명품 구매 합리성 (5점 척도)
F22. 명품에 대한 인식 6) 명품 렌털/대여 이용 의향 (5점 척도)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직업 (단수)
DQ2. 결혼 여부 (단수)
DQ3. 함께 살고 있는 구성원 (복수)
DQ4.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5.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Contents No DP2022-09호
Summary *본 조사는 만 15~41세의 일반적인 소비행태 및 습관, 소비 성향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함
*최근 MZ세대의 소비 행태로 주목 받고 있는 온라인 '선물하기' 기능, 중고거래, 명품 관련 U&A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고자 함
Project Manager 호영성 수석연구원(연구책임)
이은재 수석연구원

관련 콘텐츠

패키지 상품으로 구매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패키지 상품 보기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