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주제
발행연도
~
자료유형
칼럼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세대별 관계 데이터와 Z세대의 기록법, 소셜 빅데이터로 본 AI 스마트폰 경쟁

2025.02.28 680




이번 달에는 친구 관계, 온라인 기반 관계, 전반적인 인간관계 등에 대한 세대별 인식 및 소통 방법이 담긴 [데이터] 관계·커뮤니케이션 정기조사 2025를 발행했습니다. 또 Z세대의 실제 목소리를 통해 살펴본 경험 기록법, 절약·투자 행태, 10대가 학교 외에 더 배우고 싶은 공부 등을 담은 <트렌드 리포트 : Gen-Z Voice (2025년 2월호)>, 소셜 빅데이터로 분석한 AI 스마트폰 경쟁과 편의점 주류 소비 트렌드, ‘흑백요리사’의 흥행 열기 등을 다룬 <트렌드 리포트 : Social Listening (2025년 2월호)> 보고서를 발행했습니다. 이외에도 대학생들의 대외활동 및 공모전, 기업 강연 등의 참여 실태와 인식을 다룬 <2025 Outcampus Trend Report>를 발행했습니다. 각각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확인해 볼까요?









네이버 블로그 ‘서로이웃’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오랜 역사를 지닌 블로그 기능이지만, 최근 Z세대 사이에서 블로그가 '찐친’들의 소통 창구로 거듭나면서 재조명받고 있습니다. 마치 인스타그램 부계정처럼, 가까운 친구 또는 지인과 교류하기 위한 채널이 된 것이죠. 이외에도 로켓 위젯, 비리얼 등 한정된 인원에게 일상을 공유할 수 있는 폐쇄형 SNS가 주목받고 있어요.


이번 조사에 따르면 전 세대에서 10명 중 8명(80.2%)은 가까운 친구 또는 지인과만 교류하기 위해 별도의 SNS 계정 및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가까운 친구 및 지인과만 교류하는 SNS 계정·소통 채널로 Z세대 이외에는 모두 카카오톡을 주로 활용한 반면, Z세대는 인스타그램(52.7%) 응답률이 두드러졌어요. 다른 세대(후기 밀레니얼 39.7%, 전기 밀레니얼 33.0%, X세대 20.0%, 86세대 14.3%)에 비해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 밖에도 Z세대는 네이버 블로그(14.0%)디스코드(10.7%) 응답률이 다른 세대에 비해 높았는데요. 친한 친구와 긴밀하게 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SNS 채널을 활용하는 모습이 두드러집니다.


[데이터] 관계·커뮤니케이션 정기조사 2025를 통해 친한 친구 구분 기준, 최근 1년 내 친구와 진행한 파티·이벤트 유형, 친구 관계 고민 해결에 도움을 준 콘텐츠 등 친구와의 소통 방식 및 관계에 대한 세대별 데이터를 확인해 보세요. 친구 관계뿐만 아니라 온라인 기반 관계와의 소통 방식, 전반적인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까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이번 연구자료에서 주목할 만한 데이터는?


🧑‍🤝‍🧑 Z세대의 친구 관계

· Z세대가 친구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수는 평균 15.2명, 그 중 친한 친구라고 생각하는 수는 평균 5.8명

· 친한 친구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함께 있을 때 불편하거나 신경 쓰이는 정도(36.0%)’, ‘자주 연락하거나 만남을 갖는지(34.3%)’, ‘개인적인 고민을 편하게 공유할 수 있는지(32.3%)’ 등을 고려함

· 친구·지인의 생일 선물 비용은 평균 4.6만, 축의금은 평균 9.9만, 직계가족 조의금은 평균 9.4만원이 적당하다고 생각함

· 친한 친구의 생일 선물로 평균 8.7만, 축의금 평균 22.1만, 직계가족 조의금 평균 20.5만원까지 지불 가능하다고 응답함


🤝🏻 친구 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

· 전기 밀레니얼을 제외한 전 세대에서 절반 이상이 친구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Z세대(68.0%) 비율이 두드러짐

· 친구 관계를 유지하는 데 있어 Z세대와 후기·전기 밀레니얼 세대는 ‘예의를 지키고 배려하는 것’을 중요한 요소로 꼽음

· 반면, X세대와 86세대는 ‘힘들 때 의지와 위로가 되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음

· Z세대는 ‘친구가 싫어하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41.0%)’, 후기 밀레니얼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37.0%)’의 응답률이 다른 세대보다 돋보임









불황으로 취업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대학생들의 대외활동 참여 행태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아웃캠퍼스 리포트에 따르면 2024년 대학생들의 대외활동 참여율은 42.4%를 기록했는데요. 2021년부터 3년간 상승세였으나,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7%p 하락했습니다. 1인당 평균 참여 횟수는 1.61회로, 2022년부터 3년간 하락세를 보였어요.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대외활동 참여 기간은 1개월(26.3%)과 3개월(21.2%)로 나타났는데요. 학기 중 끝나는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1일(10.8%)과 1주(18.5%)처럼 초단기 대외활동을 선호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어요.


이번 보고서에서는 대학생들이 대외활동·공모전 참여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선호하는 대외활동·공모전 유형 등 전반적인 대외활동·공모전 참여 실태를 담았습니다. 또, 기업이 주관하는 강연과 관련한 대학생들의 인식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최근 화제가 된 이슈 및 사례에 대한 Z세대의 실제 목소리를 담은 리포트로, Z세대 오픈채팅 커뮤니티 제트워크를 활용해 2025년 1월 분석한 결과를 담았습니다.


📌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1. Z세대가 경험을 기록하거나 기억하는 방법

2. 최근 Z세대가 더 아끼게 된 것과 더 투자하게 된 것

3. 10대가 학교 수업 외에도 배우고 싶은 공부









본 보고서는 소셜 빅데이터로 분석한 산업별 이슈와 트렌드를 간략하게 정리한 리포트로, NEWEN AI 소셜 빅데이터 플랫폼 Quettal를 활용해 2025년 1월 분석한 결과를 담았습니다.


📌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1. AI 스마트폰 경쟁 본격화, 소비자의 반응은?

2. 주류 트렌드의 빠른 변화, 편의점 주류 소비에 나타난 변화는?

3. 종영 4개월이 지난 <흑백요리사>, 여전히 화제성을 이어가고 있을까?

Contents No SC2025-06호
Summary ✔ 세대별 친구 관계 및 온라인 기반 관계, 인간관계 관련 인식
✔ Z세대의 실제 목소리로 살펴본 경험 기록법, 절약·투자 행태
✔ 소셜 빅데이터로 분석한 AI 스마트폰 경쟁, 편의점 주류 소비
Project Manager 김성욱 매니저
김다희 선임디자이너
김혜리 파트장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