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주제
발행 연도
~
인포그래픽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AI 시대의 친환경 트렌드는? 2025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리포트

2025.06.16 1,750



최근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자가 크게 증가하면서 전력 소비와 탄소발자국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AI에 검색 단계를 줄이거나 클라우드 용량을 정리하는 등 디지털 친환경 실천사항도 새롭게 대두되고 있죠.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전국 15~49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친환경을 비롯해 전반적인 친환경 관련 인식과 행동, 소비 행태를 조사했습니다.


💸 친환경은 중요하지만 ‘친환경 프리미엄’은 글쎄




먼저 친환경 관련 행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봤습니다. 응답자의 56.6%는 ‘나의 참여가 환경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52.2%는 ‘환경에 도움이 된다면 불편함을 감수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어요. 특히 기혼가구의 긍정 응답률이 60%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는데요. 자녀가 있거나 자녀 계획을 세울 가능성이 높은 가구 형태에서 친환경 행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환경에 도움이 되는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 돈을 더 지불할 의향이 있다’는 문항에는 ‘그렇다’는 응답이 37.2%에 그쳤어요. 친환경 행동에 대한 인식에 비해 친환경 프리미엄이 붙은 소비에 유보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환경에 도움이 되는 물건을 위해 돈을 더 지불할 의향이 없는 응답자도 5명 중 1명(19.4%) 꼴이었고요.


♻️ 일회용품은 줄여야 하지만 물티슈는 포기할 수 없어


현재 환경을 위해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행동은 모든 연령대에서 ‘분리수거’가 1위,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가 2위였습니다. 그런데 10대(15~19세)는 당근마켓, 번개장터 등 중고거래를 이용한다는 응답(46.3%)이 친환경 실천 행동 3위로 꼽혀 눈길을 끌었어요. 또 20대는 자동차 대신 도보·자전거·대중교통을 이용(48.4%)하고, 40대는 전자 영수증을 발급(44.2%)한다는 응답이 두드러졌습니다. 30대는 제로웨이스트·리필스테이션 등 온·오프라인 친환경 전문 매장을 이용(15.5%)한다는 응답이 비교적 높았어요.

환경을 위해 줄이려고 노력하는 일회용품은 종이컵(47.6%)과 나무젓가락(47.4%)이 나란히 1, 2위를 기록했어요. 반대로 환경을 생각해도 사용을 줄이기 어렵거나, 계속 사용할 수밖에 없는 일회용품으로는 물티슈(50.6%)가 압도적 1위였고요. 특히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를 꾸준히 한다고 응답한 이들에게서 물티슈를 계속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응답(57.4%)이 더 높은 점도 주목할 만한 대목입니다.


📱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몰라도 디지털 친환경은 중요해




이번 조사에서 ‘디지털 탄소발자국’이라는 표현의 인지도를 알아봤을 때,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응답자는 12.2%에 불과했습니다. 들어봤지만 자세히 모르는 응답자가 과반(52.8%)이었고, 전혀 모른다는 응답자도 10명 중 3명(35.0%)이었죠. 

그럼에도 ‘디지털 환경에서의 친환경 실천은 일상 속 친환경 행동만큼 중요하다’는 물음에 대해서는 62.0%의 긍정 응답률을 보였는데요. ‘디지털 탄소발자국’ 표현을 모르는 응답자도 과반(51.4%)이 디지털 친환경 실천의 중요성을 인정했습니다.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 감축을 위한 친환경 행동은 ‘불필요한 이메일 정리(45.4%)’가 1위로 꼽혔어요. 이어 △디지털 기기 사용 후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방지(41.8%)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줄이기(37.0%) △에너지 효율이 높은 디지털 기기 사용(35.6%) △디지털 기기 교체 주기 늦추기(33.4%) 순이었습니다. 특히 30대는 페이퍼리스 실천(38.5%)과 브라우저 캐시 삭제(35.8%), AI 사용 시 검색·요청 단계 줄이기(23.0%)를 디지털 친환경 행동이라고 보는 응답이 비교적 높았습니다.


🍀 친환경 대표 프랜드는 풀무원? 연령대별 1위 살펴보기




전반적인 친환경 제품 소비 행태와 인식도 살펴봤습니다. 먼저 ‘친환경 제품’하면 떠오르는 브랜드를 물었을 때 풀무원(4.0%)이 전체 1위로, 응답자들이 언급한 82개의 브랜드 중 가장 많았어요. 다만 연령대별 1위는 차이를 보였는데요. 10대의 경우 삼성과 러쉬, 이니스프리가 공동 1위(각 5.6%)였어요. 또한 20대는 프라이탁(5.6%), 30대는 파타고니아(4.1%), 40대는 풀무원(5.8%)이 각각 1위로 나타났고요.

제품 구매 시 ‘친환경 제품’이라고 느껴지는 키워드는 ‘리사이클(재활용, 재사용)(42.0%)’이 1위였습니다. 이어 △녹색 인증(30.4%) △탄소중립 인증(30.2%) △업사이클(23.2%) △생분해(22.8%) 등의 키워드가 꼽혔어요. 10대는 ‘비건(18.5%)’ 키워드를 썼을 때 친환경 제품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았는데요. 10대 타깃의 친환경 제품 마케팅을 펼치고 싶다면 주목할 만한 부분입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
친환경 관련 인식 및 소비 행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실천하고 있는 일회용품 줄이기 방법, 디지털 탄소발자국 실천을 위해 실천해 본 친환경 행동, 1년 내 구매해 본 친환경 제품 카테고리 등을 살펴봤습니다. 친환경 제품 사용 시 만족 또는 불만족스럽게 느낀 부분, 친환경 제품을 소비하는 사람에 대한 이미지 등 자세한 내용은 ‘라이트 서베이’ 웹리포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요.

라이트 서베이’는 20문항 이내의 간단한 설문조사가 필요할 때 전문 연구원이 문항 설계부터 조사 진행, 결과 분석까지 대행하는 서비스로, 신속하게 소비자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라이트 서베이’에 대한 정보는 하단 소개서에서 확인해 보세요.




Contents No LS2025-02호
Summary 디지털 친환경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15~49세가 말하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Project Manager 김다희 선임디자이너
김성욱 매니저
김혜리 파트장
김유라 연구원
송혜윤 선임연구원
지승현 선임연구원
이은재 파트장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