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아는 맛’ 클리셰도 사랑받는 이유, Z세대 K콘텐츠 소비법
2025.08.26
4

바야흐로 K의 시대다. 글로벌 시장에서 K콘텐츠의 위상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제목부터 K가 붙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의 흥행은 이를 잘 보여준다. 글로벌 Z세대는 ‘케데헌’ 속 음악과 한국 전통문화에 열광했다. 주제곡 ‘골든(Golden)’은 빌보드 차트 1위를 차지했고, 국립중앙박물관 등 국립 박물관에서는 외국인 카드 이용 건수가 올해 37% 늘었다. 호랑이와 까치 등 ‘케데헌 뮷즈(박물관 굿즈)’를 사기 위해 몰려든 외국인들 덕분이다.
Z세대가 K콘텐츠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플랫폼과 장르의 다양화, 퀄리티의 상승, 스타 캐스팅 등 여러 요인이 있다. 하지만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Z세대가 소비하는 콘텐츠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특징에 주목했다. 오늘날 Z세대에게 콘텐츠는 단순한 엔터테인먼트가 아니라, 현실에서 결핍된 감성을 채우고 인간관계에 필요한 사회적 스킬을 배우는 통로라는 것이다.
Z세대가 K콘텐츠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플랫폼과 장르의 다양화, 퀄리티의 상승, 스타 캐스팅 등 여러 요인이 있다. 하지만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Z세대가 소비하는 콘텐츠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특징에 주목했다. 오늘날 Z세대에게 콘텐츠는 단순한 엔터테인먼트가 아니라, 현실에서 결핍된 감성을 채우고 인간관계에 필요한 사회적 스킬을 배우는 통로라는 것이다.

’오징어 게임’에서 ‘폭싹 속았수다’로
K콘텐츠 화제성의 중심에는 넷플릭스가 있다. ‘킹덤’, ‘더 글로리’, ‘오징어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리즈가 글로벌 시청자를 사로잡아왔다. 그런데 2025년 상반기 최대 화제작으로 꼽히는 ‘폭싹 속았수다’는 기존의 흥행작들과 사뭇 분위기가 다르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좀비 아포칼립스물(킹덤)도 아니고 학교폭력 피해자의 복수극(더 글로리)도 아니다. 이제는 고유명사가 된 ‘오징어 게임’ 같은 극한적 상황은 더더욱 아니다.
제주도를 배경으로 광례와 애순, 금명까지 3대에 걸친 모녀의 이야기를 담은 ‘폭싹 속았수다’는 인류애의 결정체다. 자식을 위해 헌신하는 부모의 사랑, 서러움을 함께 견디는 연인 간의 사랑이 시청자의 눈물을 쏟게 했다. 즉 최근 부상하고 있는 K콘텐츠의 핵심은 한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 바로 ‘휴머니즘’이다.

Z세대가 ‘아는 맛 클리셰’에 반응하는 이유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드라마·예능 속 Z세대 가치관 키워드’ 보고서에서 이 같은 모습을 ‘보편 감성 충전’이라고 정의했다. 오늘날 현실의 복잡한 인간관계와 경쟁 사회에서 지친 Z세대는 콘텐츠를 통해 감정적 안정과 위로를 구한다. Z세대는 현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서로 마음이 엇갈리거나 오해와 갈등이 잦은 연인의 모습보다는 오랜 시간 변치 않는 마음을 가진 직진 서사에 호응하고 있다.
또 가족의 형태가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나아가 1인 가구로 파편화되면서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를 되돌아보는 콘텐츠에도 반응하고 있다. 2024년 ‘선재 업고 튀어’의 선재나 2025년 ‘폭싹 속았수다’의 관식이 대표적이다. 회귀물인 ‘선재 업고 튀어’에서 선재는 여주인공이 회귀할 때마다 상황이 달라지는데도 한결같은 순애보를 보인다. ‘폭싹 속았수다’의 관식은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고 일편단심 다정한 남편이자 아빠로 등장한다.
Contents No
CL2025-04
Summary
오징어 게임에서 폭싹 속았수다로,
콘텐츠에 담긴 Z세대의 가치관을 살펴봤습니다.
콘텐츠에 담긴 Z세대의 가치관을 살펴봤습니다.
Project Manager
김성욱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