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주제
발행 연도
~
데이터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정기조사 데이터

[데이터] 여가 정기조사 2025

2025.09.11
42
제공형태
엑셀
판매가
300,000원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다운로드 시작 포함) 또는 열람한 경우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위 파일은 샘플입니다.
아이콘 클릭 시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이용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2024년 1월부터 정기조사 데이터와 기획조사 데이터로 변경되었으며, 본 데이터는 정기조사 데이터입니다. 
**2025년 7월 이후 발행되는 연구자료부터 세부 분석 단위 중 ‘기혼무자녀’, ‘기혼유자녀’의 표기를 각각 더 정확한 표현인 ‘기혼부부’, ‘기혼자녀동반’으로 수정합니다. 
▶ 
연구자료 개편 안내 보기

올여름 휴가 다녀오셨나요? 요즘은 일부러 성수기를 피해 날씨가 좋은 가을께 긴 휴가를 떠나는 이들도 많은데요. 이번 조사에서 여행 시기를 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을 묻자, 가족이나 친구 등 동행인이 가능한 일정(27.0%)이 1위로 꼽혔습니다. 이어 정해진 시기가 아닌 개인적으로 여유가 있는 시기(21.7%), 여행지의 날씨가 좋은 시기(11.3%) 순으로 나타났어요.
 
특히 직업별 차이가 흥미로운데요. 직장인은 휴가 시즌보다 동행인이 가능한 일정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응답이 1위를 차지했습니다. 중·고등학생은 여름 휴가·방학 시즌을, 대학(원)생은 항공권이나 숙박 등 가격이 저렴한 시기를 다른 직업군보다 비교적 더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고요.
 
[데이터] 여가 정기조사 2025에서는 여행 시기를 선정하는 기준뿐만 아니라 자기개발, 정신 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 운동, 영화 관람과 관련한 세대별 모습과 여가 시간을 즐기는 시간, 비용 및 공간 등 전반적인 여가 생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번 연구자료에서 주목할 만한 데이터는?

🍀 삶에서 여가가 갖는 우선순위
· 여가가 삶에서 갖는 우선순위가 높다는 응답은 71.6%로, 특히 Z세대(79.6%)가 다른 세대보다 높음
· 10명 중 8명(86.1%)이 삶에서 충분한 여가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응답함
· 다만 최근 1년간 여가 시간이 충분했다고 느낀 응답자는 절반 미만(43.2%)임

 
🎞️ OTT의 시대, 영화관에 가는 이유는?
· OTT, IPTV 등을 통해 영화를 집에서 관람하는 것(38.8%)을 영화관에 방문해 관람하는 것(36.4%)보다 선호함
· OTT보다 영화관에 방문하고 싶은 상황은 큰 스크린과 좋은 음향으로 영화를 보고 싶을 때(47.8%)가 1위로 꼽힘
· 이미 OTT 시청이 자연스러워진 상황에서 기분 전환을 위해(37.8%) 영화관에 방문하고 싶다는 응답이 뒤를 이음

*본 데이터는 파트 번호 및 문항 번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번호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거주지역 (단수)

Part A 여가의 정의
A2. 여가가 삶에서 갖는 우선순위 (7점 척도)
A3. 여가 생활로 원하는 경험을 하는 것의 중요도 (7점 척도)
A4. 충분한 여가 시간을 갖는 것의 중요도 (7점 척도)
A5. 여가 생활로 얻는 가치 중요도 1) 일상에서 벗어났다는 해방감을 느끼는 것 (7점 척도)
A5. 여가 생활로 얻는 가치 중요도 2) 편안하고 긴장이 풀린 상태로 휴식을 취하는 것 (7점 척도)
A5. 여가 생활로 얻는 가치 중요도 3) 나의 경험을 채우고 안목을 넓히는 것 (7점 척도)
A5. 여가 생활로 얻는 가치 중요도 4) 가까운 존재와 시간을 보내는 것 (7점 척도)
A5. 여가 생활로 얻는 가치 중요도 5) 내가 어떤 사람인지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 (7점 척도)
A5. 여가 생활로 얻는 가치 중요도 6) 어떤 일에 도전하거나 성과를 달성하는 것 (7점 척도)
A6. 여가 생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단수)

Part B 여가 생활 실태
B1. 최근 1년 내 경험한 여가 생활 (복수)
B5. 향후 1년 내 하고 싶은 여가 생활 (복수, 최대 5개)
B6-1. 최근 1년 내 평일 여가 1) 혼자 보내는 시간 비중 (주관식, 단위: %)
B6-1. 최근 1년 내 평일 여가 2) 타인과 함께 보내는 시간 비중 (주관식, 단위: %)
B6-2. 최근 1년 내 휴일 여가 1) 혼자 보내는 시간 비중 (주관식, 단위: %)
B6-2. 최근 1년 내 휴일 여가 2) 타인과 함께 보내는 시간 비중 (주관식, 단위: %)
B9. 혼자 보내는 여가와 타인과 함께 하는 여가 중 선호하는 것 (7점 척도)
B10-1. 최근 1년 내 평일 여가 1) 집에서 보내는 시간 비중 (주관식, 단위: %)
B10-1. 최근 1년 내 평일 여가 2) 외출해서 보내는 시간 비중 (주관식, 단위: %)
B10-2. 최근 1년 내 휴일 여가 1) 집에서 보내는 시간 비중 (주관식, 단위: %)
B10-2. 최근 1년 내 휴일 여가 2) 외출해서 보내는 시간 비중 (주관식, 단위: %)
B12. 집에서 보내는 여가와 외출해서 보내는 여가 중 선호하는 것 (7점 척도)
B13. 최근 1년 기준 평일 하루 시간 구성 1) 수면 시간 (주관식, 단위: 시간)
B13. 최근 1년 기준 평일 하루 시간 구성 2) 여가 시간 (기본 수면 시간 제외, 주관식, 단위: 시간)
B15. 최근 1년 기준 여가 시간 만족도 (7점 척도)
B17. 최근 1년 기준 한 달 평균 여가 비용 (주관식, 단위: 만 원)
B19. 최근 1년 기준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경제적 여유 만족도 (7점 척도)
B20. 최근 1년간 여가 생활로 얻은 가치 1) 일상에서 벗어났다는 해방감을 느꼈다 (7점 척도)
B20. 최근 1년간 여가 생활로 얻은 가치 2) 편안하고 긴장이 풀린 상태로 휴식을 취했다 (7점 척도)
B20. 최근 1년간 여가 생활로 얻은 가치 3) 나의 경험을 채우고 안목을 넓혔다 (7점 척도)
B20. 최근 1년간 여가 생활로 얻은 가치 4) 가까운 존재와 시간을 보냈다 (7점 척도)
B20. 최근 1년간 여가 생활로 얻은 가치 5) 내가 어떤 사람인지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7점 척도)
B20. 최근 1년간 여가 생활로 얻은 가치 6) 어떤 일에 도전하거나 성과를 달성했다 (7점 척도)
B21. 최근 1년 기준 여가 생활 전반적 만족도 (7점 척도)
B22. 향후 1년간 여가 생활에 가장 중점이 될 가치 (단수)

Part C 자기개발
C18. 자기개발이 삶에서 갖는 우선순위 (7점 척도)
C2. 최근 1년 내 경험 자기개발 분야 (복수)
C2. 최근 1년 내 자기개발 경험 여부 (자기개발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2. 최근 1년 내 경험 자기개발 분야 (자기개발 경험 없음 응답자 제외, 복수)
C3. 최근 1년 내 경험 기준 자기개발을 하는 이유 (복수)
C9. 향후 1년 내 자기개발하고 싶은 분야 (복수, 최대 5개)
C9. 향후 1년 내 자기개발 의향 여부 (자기개발 의향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9. 향후 1년 내 자기개발하고 싶은 분야 (자기개발 의향 없음 응답자 제외, 복수, 최대 5개)

Part F 정신 건강 관리
F2. 정신 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가 삶에서 갖는 우선순위 (7점 척도)
F13. 최근 1년 내 스트레스를 느낀 문제 - 1순위
F13. 최근 1년 내 스트레스를 느낀 문제 - 1+2순위
F13. 최근 1년 내 스트레스를 느낀 문제 - 1+2+3순위
F3. 최근 1년 내 정신 건강 관리를 위해 경험한 활동 (복수)
F4. 최근 1년 내 정신 건강 관리에 가장 효과적인 활동 (단수)

Part D 운동
D22. 운동이 삶에서 갖는 우선순위 (7점 척도)
D23. 주기적 운동 빈도 (단수)
D23. 주기적 운동 빈도 (주기적으로 하지 않음 응답 제외, 단수)
D1. 최근 1년 내 경험해 본 운동 (복수)
D26. 최근 1년 기준 가장 자주 하는 운동 - 1순위
D26. 최근 1년 기준 가장 자주 하는 운동 - 1+2순위
D29. 향후 해보고 싶은 운동 (복수, 최대 3개)
D29. 향후 운동 의향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29. 향후 해보고 싶은 운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최대 3개)
D33. 운동을 하는 목적 (복수)
D34.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운동 목적 (단수)

Part G 여행
G1. 여행이 삶에서 갖는 우선순위 (7점 척도)
G2. 최근 1년 내 여행 횟수 1) 국내 여행 (주관식, 단위: 회)
G2. 최근 1년 내 여행 횟수 2) 해외 여행 (주관식, 단위: 회)
G27. 최근 1년 내 여행을 다녀온 시기 1) 국내 여행 (여행 시작 시점 기준, 복수)
G27. 최근 1년 내 여행을 다녀온 시기 2) 해외 여행 (여행 시작 시점 기준, 복수)
G28. 여행 시기 선정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 (단수)
G3. 최근 1년 내 방문 여행지 (복수)
G4. 향후 1년 내 계획 여행지 (복수)
G4. 향후 1년 내 여행 계획 여부 (계획 없음 응답자 구분, 단수)
G4. 향후 1년 내 계획 여행지 (계획 없음 응답자 제외, 복수)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1) 서울 (주관식, 구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2) 경기/인천 (주관식, 시/군/구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3) 강원 (주관식, 시/군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4) 부산 (주관식, 군/구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5) 경상 (주관식, 시/군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6) 충청 (주관식, 시/군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7) 전라 (주관식, 시/군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8) 제주 (주관식, 시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9) 일본 (주관식, 도시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10) 중국 (주관식, 도시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11) 홍콩/마카오/대만 (주관식, 도시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12) 유럽 (주관식, 도시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13) 동남아 (주관식, 도시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14) 괌/사이판 (주관식, 도시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15) 호주/뉴질랜드 (주관식, 도시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16) 미주/남미/하와이 (주관식, 도시 단위 기재)
G4-1. 향후 1년 내 계획 세부 여행지 17) 인도/아프리카 (주관식, 도시 단위 기재)

Part I 여가 공간
I1. 최근 3개월 내 외출해서 여가를 보낼 때 방문한 공간 유형 (복수)
I1. 최근 3개월 내 외출해서 여가를 보낼 때 공간 방문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I1. 최근 3개월 내 외출해서 여가를 보낼 때 방문한 공간 유형 (없음 응답 제외, 복수)
I17. 최근 3개월 내 주로 방문한 공간 유형 (복수, 최대 3개)
I2. 평소 선호하는 여가 공간 (복수)
I6. 거주지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여가 공간 (복수)
I14. 선호하는 영화 관람 방식 (5점 척도)
I15. TV, OTT가 아닌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고 싶은 상황 - 1순위
I15. TV, OTT가 아닌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고 싶은 상황 - 1+2순위
I15. TV, OTT가 아닌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고 싶은 상황 - 1+2+3순위

Part M 관람형 여가
M1. 관람형 여가 경험 빈도 1) 전시·박람회 관람 *팝업스토어 전시 포함 (단수)
M1. 관람형 여가 경험 빈도 1) 전시·박람회 관람 *팝업스토어 전시 포함 (없음 응답 제외, 단수)
M1. 관람형 여가 경험 빈도 2) 공연 관람 (단수)
M1. 관람형 여가 경험 빈도 2) 공연 관람 (없음 응답 제외, 단수)
M1. 관람형 여가 경험 빈도 3) 경기 현장 관람 (단수)
M1. 관람형 여가 경험 빈도 3) 경기 현장 관람 (없음 응답 제외, 단수)

Part L 기념일·공휴일
L1. 최근 1년 내 챙겨본 적 있는 공식 기념일 (복수)
L1. 최근 1년 내 챙겨본 적 있는 공식 기념일 유무 (없음 응답 구분, 단수)
L1. 최근 1년 내 챙겨본 적 있는 공식 기념일 (없음 응답 제외, 복수)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직업 (단수)
DQ2. 결혼 여부 (단수)
DQ3. 함께 살고 있는 구성원 (복수)
DQ4.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5.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Contents No 정기조사 데이터_2025_L_01_01
Summary 본 조사는 15~55세의 여가 생활 및 여가 가치관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함
Project Manager 김유라 연구원 (연구책임)
신효원 연구원
지승현 선임연구원

관련 콘텐츠

패키지 상품으로 구매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패키지 상품 보기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