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직] 소비-뷰티(클렌징)(2020년 10월)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데이터베이직은 '성별, 연령, 세대별' 비교 결과를 포함
코로나19를 계기로 뷰티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는 가운데,
본 조사[소비-뷰티(2020년 10월)]을 통해 MZ세대 여성의 화장지우기, 세안 등 클렌징에서 전반적인 모습을 알아보았습니다.
아침세안을 매일하는 비율(90.9%)과 저녁세안을 매일하는 비율(95.2%)을 보면, 아침세안을 매일하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았고, 이는 외출이 줄어든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MZ세대 여성의 87.4%가 세안 시 도구 사용 경험이 있고, 현재 사용하는 도구 중에는 모공브러시(22.1%)와 거품망(21.2%)이 많았습니다. 세안 시 가장 신경쓰는 부위는 코 주변(66.0%)이고,
피부 건강에 대한 클렌징의 중요도는 93.0%(긍정응답), 트러블 개선에 대한 클렌징의 중요도는 85.5%(긍정응답)로 나타나 피부 관리 측면에서 클렌징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외 클렌징하면 떠오르는 브랜드 순위, 클렌징 제품의 사용 행태나 구매 관련 데이터 등 자세한 내용은 자료에서 확인해 주세요!
-김금희 수석연구원
*소비-뷰티(베이스메이크업)(2020년 4월) 조사와 달리, 소비-뷰티(클렌징)(2020년 10월) 조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조사대상 및 조사주제가 변경되었습니다.
- 조사대상 : 만 15~34세에서 만 15~39세로 확대 (만 15세 이상의 MZ세대 전체 포함)
- 조사주제 : 소비-뷰티(2020년 4월) 베이스 메이크업 → 소비-뷰티(2020년 10월) 클렌징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현재거주지역 (단수)
PART A. 세안법 행태 및 인식
A1. 화장지우기 및 얼굴 세안 유형 (단수)
A2. 아침저녁 세안 유형 (단수)
A2-1. 아침세안 빈도 (단수)
A2-2. 저녁세안 빈도 (단수)
A3-1. 아침세안 물 온도 (단수)
A3-2. 저녁세안 물 온도 (단수)
A4-1. 아침세안 물 종류 (단수)
A4-2. 저녁세안 물 종류 (단수)
A5-1. 아침세안 세면대·샤워기에서 사용 여부 (단수)
A5-2. 저녁세안 세면대·샤워기에서 사용 여부 (단수)
A6-1. 아침세안 얼굴 문지르는 강도 (단수)
A6-2. 저녁세안 얼굴 문지르는 강도 (단수)
A7. 아침저녁 세안 시 도구 사용 경험 (단수)
A7-1. 아침저녁 세안 시 지금까지 사용해 본 도구 - 도구사용자 (복수)
A8. 아침저녁 세안 시 최근 주로 사용하는 도구 - 도구사용자 (복수)
A9-1. 아침세안 세안 시 도구 사용 빈도 (단수)
A9-2. 저녁세안 세안 시 도구 사용 빈도 (단수)
A10. 세안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효과 (단수)
A11. 세안 시 가장 신경쓰는 부위 (단수)
A12. 물기 닦아내는 정도 (단수)
A13. 스킨케어 시점 (단수)
A14. 세안법 정착 여부 (단수)
A15. 지금까지 시도해 본 세안법 (복수)
A16. 최근 한 달 이내 경험 세안법 (복수)
PART B. 메이크업 클렌징 행태 및 인식
B1. 귀가 후 화장을 바로 지우는 응답자 비율 (단수)
B1-1. 귀가 후 화장을 바로 지우는 주요 이유 (단수)
B1-2. 귀가 후 화장을 바로 지우지 않는 주요 이유 (단수)
B2. 가장 신경써서 지우는 화장 종류 (단수)
B3. 화장을 지울 때 불편점 (복수)
B4. 화장을 지울 때 1차 세안과 2차 세안 분리 여부 (단수)
B5. 화장을 지울 때 사용하는 제품의 정착 여부 (단수)
B6. 화장을 지울 때 도구 사용 경험 (단수)
B6-1. 화장을 지울 때 지금까지 사용해 본 도구 - 도구사용자 (복수)
B7. 화장을 지울 때 최근 주로 사용하는 도구 - 도구사용자 (복수)
B8. 화장을 지울 때 도구 사용 빈도 (단수)
PART C. 클렌징 제품 사용 및 구매 행태
C1. 클렌징 브랜드 최초상기도 (주관식, 1개)
C1. 클렌징 브랜드 비보조상기도 (주관식, 최대 5개)
C2. 가장 선호하는 클렌징 브랜드 (주관식, 1개)
C3. 한 번이라도 사용해 본 클렌징 제품 종류 (복수)
C4. 갖고 있는 클렌징 제품 종류 (복수)
C5. 진한 색조화장 했을 때 주로 사용하는 클렌징 제품 조합 (복수) / (단수) / 1개 / 2개
C6. 스킨케어만 했을 때 주로 사용하는 클렌징 제품 종류 (복수) / (단수) / 1개 / 2개
C7. 아침에 주로 사용하는 클렌징 제품 종류 (복수) / (단수) / 1개 / 2개
C8. 저녁에 주로 사용하는 클렌징 제품 종류 (복수) / (단수) / 1개 / 2개 / 3개 / 4개
C9. 현재 보유 클렌징 제품 사용 빈도
1) 립&아이 리무버 2) 클렌징 티슈 3) 클렌징 워터 4) 클렌징 젤 5) 클렌징 로션·밀크 6) 클렌징 리퀴드 7) 클렌징 오일 8) 클렌징 크림
9) 클렌징 밤 10) 클렌징 폼 11) 버블 폼 12) 엔자임파우더워시 13) 비누 14) 필링 15) 스크럽 16) 워시 오프 마스크 17) 곡물가루
C10. 현재 사용 클렌징 제품 만족도 (5점척도)
1) 립&아이 리무버 2) 클렌징 티슈 3) 클렌징 워터 4) 클렌징 젤 5) 클렌징 로션·밀크 6) 클렌징 리퀴드 7) 클렌징 오일 8) 클렌징 크림
9) 클렌징 밤 10) 클렌징 폼 11) 버블 폼 12) 엔자임파우더워시 13) 비누 14) 필링 15) 스크럽 16) 워시 오프 마스크 17) 곡물가루
C11. 세정력 외 클렌징 제품에 만족감이 드는 피부 느낌 (단수)
C12. 클렌징 제품 구매 빈도 (단수)
C13. 클렌징 제품 1회 구매 당 평균 개수 (단수)
C14. 클렌징 제품 구매 시 중요 고려 요인(KBF)
C15. 클렌징 제품 구매 시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효과 (복수)
C16. 클렌징 제품 주 구매 채널 (복수)
C17. 클렌징 제품 최선호 구매 채널 (단수)
C18. 클렌징 제품 주 구매 용량대 (단수)
C19. 클렌징 제품 적당한 용량대 (단수)
C20. 클렌징 제품 주 구매 평균 가격대 (단수)
C21. 클렌징 제품 적당한 가격대 (단수)
PART D. 클렌징 제품 정보 탐색 행태
D1. 클렌징 제품 관련 정보 최초 인지 채널 (복수)
D2. 클렌징 제품 관련 정보 적극 탐색 채널 (복수)
D3. 클렌징 제품 구매 결정 영향 채널 (단수)
D4. 클렌징 제품 구매 결정 영향 콘텐츠 (복수, 최대5개)
D5. 클렌징 제품 구매 결정 스타일 (단수)
D6. 클렌징 제품 구매 결정 전 후보 제품 개수 (구매 고려군 개수) (단수)
D7. 클렌징 제품 소비 가치
1) 가격 우선 (7점척도)
2) 자극 유발, 인체 무해성 등 안전성 우선 (7점척도)
3) 유효 성분, 천연, 효능·효과 등 기능 우선 (7점척도)
4) 세정력, 마무리감, 타입 등 사용감 우선 (7점척도)
5) 디자인, 패키지 등 제품 외형 우선 (7점척도)
6) 사용하기 편리한 것 우선 (7점척도)
7) 흔하거나 구매 간편 등 구매 접근성 우선 (7점척도)
8) 사용 후기, 주변 추천 등 검증된 제품 우선 (7점척도)
9) 잘 알려져 있고 사람들이 많이 쓰는 브랜드 우선 (7점척도)
10) 환경, 동물, 기부, 공정무역 등 신념 우선 (7점척도)
11) 즉각적 만족, 보상 심리 등 소비행위 만족감 우선 (7점척도)
12) 취향, 취미, 덕질 우선 (7점척도)
13) 재능, 노력, 자립, 혁신성 등 지지·응원 우선 (7점척도)
14) 사회 이슈 기반 구매운동·불매운동 실천 우선 (7점척도)
15) 시간·체력 절약, 스트레스 감소 등 편의 우선 (7점척도)
16) 인증하거나 보여줄 만한 가치 우선 (7점척도)
D8. 클렌징 제품 구매 결정 시 고려하는 브랜드 이미지 (복수)
D9. 클렌징 제품 만족 시 사후 행동 (복수)
D10. 클렌징 제품 불만족 시 사후 행동 (복수)
PART E. 클렌징 제품과 피부 건강
E1. 피부건강에 대한 클렌징 제품의 역할 중요도 (5점척도)
E2. 트러블 개선에 대한 클렌징 제품의 영향력 (5점척도)
E3. 클렌징 제품에 대한 관여도 (5점척도)
E4. 클렌징 제품 성분 중요도 (5점척도)
E4-1. 클렌징 제품 성분 중요한 이유 (단수)
E4-2. 클렌징 제품 성분 중요하지 않은 이유 (단수)
E5. 클렌징 제품의 1) 유효성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중 (주관식)
E5. 클렌징 제품의 2) 유해성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중 (주관식)
E6. 클렌징 제품 성분 이해도 (5점척도)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직업 (단수)
DQ2. 결혼 여부 (단수)
DQ3. 함께 살고 있는 가족 (복수)
DQ4.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5.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DQ6. 현재 피부 타입 (단수)
DQ7. 현재 피부 고민 (복수)
*데이터베이직은 '성별, 연령, 세대별' 비교 결과를 포함
이은재 수석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