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의 인스타그램·페이스북·트위터 활용법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다운로드 시작 포함) 또는 열람한 경우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 본 인사이트 보고서의 Part 1에 포함된 조사결과의 상세 데이터는 [데이터플러스] 미디어·콘텐츠(2020년 11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Z세대 중 하루 평균 3시간 이상 SNS를 이용하는 비율은 평일 23.6%, 주말 31.2%로 나타났습니다. Z세대 4명 중 1명이 `SNS 헤비 유저`로, Z세대에게 SNS는 일상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Z세대는 SNS를 ①정보 탐색 ②순간 공유 ③메신저로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SNS로 주변 소식은 물론이고 이슈, 유머, 관심사, 제품 정보 등 모든 정보를 탐색하며, 지금 순간을 즉각적으로 표출하면서, 타인과 대화를 실시간으로 나누거나 이어 나가는 용도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Z세대가 자주 이용하는 SNS인 인스타그램·페이스북·트위터 주 이용자별로 확연하게 차이를 보인 점이 흥미롭습니다. SNS별 구체적인 이용 행태는 물론 플랫폼별 이미지, 소비 행동, 소비 성향, 광고 접촉 태도까지 명확히 구분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해당 보고서를 통해 Z세대 인스타그램·페이스북·트위터 주 이용 행태와 각각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Z세대가 제품·서비스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SNS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한 인사이트가 함께 담겨있습니다.
지금도 SNS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는 Z세대의 행동 방식과 생각이 궁금하신 분들이라면 이번 보고서를 참고해 주세요.
- 장지성 연구원
Ⅰ. 조사 개요
Ⅱ. 결과 요약
Ⅲ. 조사 결과
Part 1. MZ세대 SNS 전반적 이용 행태
Part 2. SNS 주 이용자별 이용 행태
1. SNS별 접속 빈도 및 일 평균 이용 시간
2. SNS를 이용하는 3가지 목적
① 정보 탐색
② 순간 공유
③ 메신저
3. SNS별 주 이용자 충성도 및 이용 의미
Part 3. SNS 주 이용자별 이미지
1. SNS 연상 이미지
2. SNS 기능적 이미지 포지셔닝
3. SNS Personality 이미지 포지셔닝
Part 4. SNS 주 이용자별 소비 행동 및 성향
1. 영상 콘텐츠 시청과 SNS 이용 행태
1) 영상 콘텐츠 소비 관련 활동
2) 영상 콘텐츠 소비와 SNS간 관련성
2. 제품·서비스 구매 단계별 SNS 이용 행태
① 탐색 단계
② 구매 단계
③ 공유 단계
3. 브랜드·기업 계정 태도 및 인식
1) 브랜드·기업 계정 게시물 영향력
2) SNS 주 이용자별 광고 인지 및 수용도
4. SNS별 특화 계정 태도 및 인식
1) [인스타그램] 연예인·인플루언서 계정
2) [페이스북] 정보 제공 계정·페이지
3) [트위터] 개인 작가·창작자 계정
5. SNS 주 이용자별 소비 성향
*본 보고서는 Z세대의 전반적 SNS 이용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기획됨
*그 중 가장 많이 쓰는 SNS인 인스타그램·페이스북·트위터의 주 이용자를 중심으로
각 SNS의 구체적인 이용 행태 및 특성을 상세히 분석하고,
Z세대가 제품·서비스를 구매하는 과정에서 SNS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다각도로 확인해보고자 함
호영성 수석연구원
이은재 수석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