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주제
발행연도
~
자료유형
데이터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데이터베이직

[데이터베이직] 가치관(2022년 6월)

2022.06.17
5,234
제공형태
엑셀
판매가
300,000원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위 파일은 샘플입니다.
아이콘 클릭 시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이용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직은 '성별, 연령, 세대별' 비교 결과를 포함하지만, 본 조사는 '성별, 세대별, 세대별 성별' 비교 결과를 포함함

**본 조사는 데이터베이직만 발행


해외에서 한국의 문화와 콘텐츠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이번 가치관 조사에서는 세대별 국가에 대한 인식을 상세하게 확인해 보았습니다.


해외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졌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본 결과, Z세대 64.2%, 후기 밀레니얼 62.5%, 전기 밀레니얼 70.8%, X세대 73.8%, 86세대 79.2%가 긍정적으로 답했습니다. 특히 세대가 높아질수록 긍정 응답률이 올라가는 모습이 눈에 띕니다.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적이라고 가장 인정받고 있는 분야는 86세대를 제외한 전 세대에서 ‘문화’라고 답했으며(Z세대 20.7%, 후기 밀레니얼 23.4%, 전기 밀레니얼 26.1%, X세대 25.6%), 86세대는 보건·의료(25.9%)를 꼽았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영화, 음악, 음식 등 문화가 해외에서 인정받은 것이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은 주변국과의 비교에서도 나타납니다. 한국과 인접하거나 큰 영향을 미치는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와 한국의 경제력, 국방력, 문화·콘텐츠 경쟁력, 시민의식을 비교했는데요. 전 세대가 주변국 중 문화·콘텐츠 경쟁력이 높은 국가 1위로 한국(Z세대 45.8%, 후기 밀레니얼 46.7%, 전기 밀레니얼 44.6%, X세대 52.5%, 86세대 52.9%)을 답했습니다.


이외에도 본 조사 [가치관(2022년 6월)]에는 자기 이해도, 자기 만족도, 자기 수용도, 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 등 자신에 대한 인식과 복지, 공정, 자유 관련 인식과 사회의 문제와 사회 참여 방법 등 사회에 대한 인식, 국가관 및 세계관평균에 대한 인식, 노후, 다양한 삶의 방식 수용도 등 삶에 대한 인식까지 자아·사회·국가·세계·삶에 대한 세대별 인식과 가치관 차이를 상세한 데이터를 통해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흔 수석연구원


*가치관·관계(2021년 6월) 조사와 달리, 가치관(2022년 6월) 조사에서는 일부 문항이 관계·커뮤니케이션(2022년 5월) 조사로 분리되었습니다. 


-분리된 항목 

1. 관계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문항 (Part B 전체) 

2. 연애 및 결혼에 대한 인식 문항 (Part E 일부 문항) 

3. 부모님 및 자녀와의 관계 관련 문항 (Part E 일부 문항)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현재거주지역 (단수)


Part A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A1. 자기 이해도 1) 신념(가치관, 삶의 모토) (7점 척도)

A2. 자기 이해도 2) 흥미(좋아하는 것, 관심있는 것) (7점 척도)

A3. 자기 이해도 3) 불호(싫어하는 것) (7점 척도)

A4-1. 자기 이해도 4) 성격의 장점 (7점 척도)

A4-2. 자기 이해도 5) 성격의 단점 (7점 척도)

A6-1. 자기 이해도 6) 외모·체형의 장점 (7점 척도)

A6-2. 자기 이해도 7) 외모·체형의 단점 (7점 척도)

A8-1. 자기 이해도 8) 특기,재능(잘하는 것) (7점 척도)

A8-2. 자기 이해도 9) 약점,부족(못하는 것) (7점 척도)

A5. 자기 만족도 1) 성격 (7점 척도)

A7. 자기 만족도 2) 외모·체형 (7점 척도)

A9. 자기 만족도 3) 재능·능력 (7점 척도)

A10. 자기 이해 중요도 (7점 척도)

A11. 자기 이해 노력정도 (7점 척도)

A16.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한 번이라도 해본 노력 (복수)

A16.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6.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한 번이라도 해본 노력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7. 최근 6개월 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한 노력 (복수)

A17. 최근 6개월 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7. 최근 6개월 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한 노력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8.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해볼 의향이 있는 행동 (복수)

A18.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 의향 (의향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8.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해볼 의향이 있는 행동 (의향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3. 자기 수용도 1) 나는 다른 사람과 나 자신을 비교하지 않는다 (7점 척도)

A13. 자기 수용도 2) 나는 남에게 인정받아야 마음이 편하다 (7점 척도) (*역코딩: 점수가 높을수록 동의하지 않음)

A13. 자기 수용도 3) 나는 다른 사람의 비판이나 의견을 받아들일 수 있다 (7점 척도)

A14. 자기 효능감 1) 나는 내 감정이나 욕구를 잘 통제한다 (7점 척도)

A14. 자기 효능감 2) 나는 내가 목표한 일을 성취할 수 있다 (7점 척도)

A14. 자기 효능감 3) 나는 어려움이 닥쳐도 극복할 수 있다 (7점 척도)

A14. 자기 효능감 4) 나는 지금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 (7점 척도)

A14. 자기 표현력 5) 나는 다른 사람에게 내 의견을 잘 표현한다 (7점 척도)

A14. 자기 표현력 6) 나는 내 개성과 취향을 잘 드러낸다 (7점 척도)

A14. 자기 능동태도 7) 나는 내 권리나 이익을 스스로 잘 챙긴다 (7점 척도)

A14. 자기 능동태도 8) 나는 내 몫의 일을 스스로 찾아서 한다 (7점 척도)

A14. 자기 보호 9) 나는 몸의 건강과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 평소에도 노력하고 관리한다 (7점 척도)

A14. 자기 보호 10) 나는 스트레스 해소나 기분 전환을 위한 나만의 방법이 있다 (7점 척도)

A15. 스스로 생각하는 자존감 수준 (7점 척도)

A19. 육체·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 1)나는 육체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A19. 육체·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 2)나는 정신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A19. 육체·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 3)나는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다 (7점 척도)

A19. 육체·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 4)나는 정신적으로 여유가 있다 (7점 척도)

A20. 최근 1개월 내 심각하게 걱정·고민한 경험 유형 (복수)

A20. 최근 1개월 내 심각하게 걱정·고민한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20. 최근 1개월 내 심각하게 걱정·고민한 경험 유형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1. 경험해 본 점·운세 관련 활동 (복수)

A21. 점·운세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21. 경험해 본 점·운세 관련 활동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2. 점·운세를 보는 빈도 (단수)

A23. 점·운세를 보는 방식 (복수)

A24. 점·운세를 보는 이유 - 1순위

A24. 점·운세를 보는 이유 - 1+2순위

A24. 점·운세를 보는 이유 - 1+2+3순위

A25. 향후 점·운세를 볼 의향 (7점 척도)

A26. 향후 점·운세를 보는 빈도 변화 정도 (7점 척도)

A27. 점·운세에 대한 인식 - 1) 운세를 보는 것은 정신적·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된다 (7점 척도)

A27. 점·운세에 대한 인식 - 2) 운세를 보는 것은 문제·고민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7점 척도)

A27. 점·운세에 대한 인식 - 3) 운세를 보는 것은 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7점 척도)


Part C 사회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C21. 향후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더 나아질 거라고 생각하는 정도 (7점 척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3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3+4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3+4+5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3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3+4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3+4+5순위

C3. 우리나라 사람들의 의식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복수)

C3. 우리나라 사람들의 의식 수준에 만족하는지 여부 (만족하는 것이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 우리나라 사람들의 의식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만족하는 것이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4. 우리나라 제도 및 인프라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복수)

C4. 우리나라 제도 및 인프라 수준에 만족하는지 여부 (만족하는 것이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4. 우리나라 제도 및 인프라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만족하는 것이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5. 향후 우리나라 수준 및 환경이 더 나아질 것 같은 사회 분야 (복수)

C5. 향후 우리나라 수준 및 환경이 더 나아질 것 같은지 여부 (나아질 것이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5. 향후 우리나라 수준 및 환경이 더 나아질 것 같은 사회 분야 (나아질 것이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1) 우리 사회는 정의로운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2) 우리 사회는 평등한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3) 우리 사회는 공정한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4) 우리 사회는 자유로운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5) 우리 사회는 다양성이 인정받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1) 노력하는 만큼 보상이 돌아오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2)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3)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4) 기회의 격차를 보완할 제도·장치가 잘 마련된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5) 누구나 계층 상승을 할 수 있는 사회다 (7점 척도)

C22. 복지에 대한 인식 - 동등한 복지 vs 차등적인 복지 (7점 척도)

C23. 공정에 대한 인식 - 차등적인 기회 vs 동등한 기회 (7점 척도)

C24. 교육에 대한 인식 - 동등한 교육 vs 차등적인 교육 (7점 척도)

C25. 소득의 분배에 대한 인식 - 사회와 나눠야함 vs 사회와 나눌 필요 없음 (7점 척도)

C26. 소득에 대한 인식 - 개인의 환경·조건에 달림 vs 개인의 능력·노력에 달림 (7점 척도)

C27. 경쟁에 대한 인식 - 사회 격차 심화 vs 사회 발전 촉진 (7점 척도)

C28. 정부 역할에 대한 인식 - 정부 적극 관여 vs 최대한 민간 참여 (7점 척도)

C29. 자유에 대한 인식 - 공공의 이익 우선 vs 개인의 자유 우선 (7점 척도)

C30. 저출생(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 (7점 척도)

C31. 교육 격차와 돌봄 공백 문제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 (7점 척도)

C32. 디지털 격차·소외 문제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 (7점 척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순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2순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2+3순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2+3+4순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2+3+4+5순위

C8. 최근 1년 내 사회 이슈와 관련하여 참여한 활동 (복수)

C8. 최근 1년 내 사회 참여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8. 최근 1년 내 사회 이슈와 관련하여 참여한 활동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1) 나의 참여로 사회가 바뀔 수 있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2) 사회 이슈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야한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3) 사회 이슈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내야한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4) 1년 전보다 사회 참여 방법과 통로가 다양해졌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5) 1년 전보다 나와는 다른 의견이나 생각도 존중받는 분위기다 (7점 척도)

C33. 정서적·심리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3. 정서적·심리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3. 정서적·심리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4. 육체적인 건강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4. 육체적인 건강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4. 육체적인 건강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5. 가사·돌봄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5. 가사·돌봄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5. 가사·돌봄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6. 경제적·금전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6. 경제적·금전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6. 경제적·금전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7. 긴급·재해 상황으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7. 긴급·재해 상황으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7. 긴급·재해 상황으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도움 구할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8. 우리 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 1) 우리나라 사람들은 외국인에게 친화적이다 (7점 척도)

C38. 우리 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 2) 우리 사회는 외국인이 융화되기 좋은 사회다 (7점 척도)

C38. 우리 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 3) 우리 사회는 외국인이 차별이 다른 나라보다 심하다 (7점 척도)

C16. 우리나라는 갈등이 심하다는 의견 동의 정도 (7점 척도)

C16-1. 우리 사회에서 갈등이 심한 영역 - 1순위

C16-1. 우리 사회에서 갈등이 심한 영역 - 1+2순위

C16-1. 우리 사회에서 갈등이 심한 영역 - 1+2+3순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1) 남녀갈등 (7점 척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2) 세대갈등 (7점 척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3) 정치이념갈등 (7점 척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4) 빈부갈등 (7점 척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5) 지역갈등 (7점 척도)


Part D 국가와 세계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1)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고 생각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2) 우리나라에서 계속 살고 싶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3) 우리나라의 국민인 것이 자랑스럽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4) 우리나라가 잘돼야 나도 잘된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5) 우리나라가 위기일 때 나도 힘을 보태야 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6) 애국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7) 우리나라의 국익을 위해 나의 이익을 희생할 수 있다 (7점 척도)

D2. 애국심을 느끼는 상황 - 1순위

D2. 애국심을 느끼는 상황 - 1+2순위

D2. 애국심을 느끼는 상황 - 1+2+3순위

D3.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국가 (복수)

D3.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국가가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3.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국가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4. 글로벌 리더 역할에 가장 적합한 국가 (단수)

D12. 해외에서 우리나라의 위치에 대한 인식 1)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고 인정받고 있다 (7점 척도)

D12. 해외에서 우리나라의 위치에 대한 인식 2) 해외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졌다 (7점 척도)

D13.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적이라고 인정받고 있는 사회 분야 (복수)

D13.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적이라고 인정받고 있는지 여부 (인정받는 것이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13.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적이라고 인정받고 있는 사회 분야 (인정받는 것이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14.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적이라고 가장 인정받고 있는 사회 분야 (단수)

D5. 주변국 인식 1) 미국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2) 중국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3) 일본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4) 러시아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5) 북한 (7점 척도)

D15. 주변국 중 경제력이 높은 국가 - 1위

D15. 주변국 중 경제력이 높은 국가 - 2위

D15. 주변국 중 경제력이 높은 국가 - 3위

D15. 주변국 중 경제력이 높은 국가 - 4위

D15. 주변국 중 경제력이 높은 국가 - 5위

D16. 주변국 중 국방력이 높은 국가 - 1위

D16. 주변국 중 국방력이 높은 국가 - 2위

D16. 주변국 중 국방력이 높은 국가 - 3위

D16. 주변국 중 국방력이 높은 국가 - 4위

D16. 주변국 중 국방력이 높은 국가 - 5위

D17. 주변국 중 문화·콘텐츠 경쟁력이 높은 국가 - 1위

D17. 주변국 중 문화·콘텐츠 경쟁력이 높은 국가 - 2위

D17. 주변국 중 문화·콘텐츠 경쟁력이 높은 국가 - 3위

D17. 주변국 중 문화·콘텐츠 경쟁력이 높은 국가 - 4위

D17. 주변국 중 문화·콘텐츠 경쟁력이 높은 국가 - 5위

D18. 주변국 중 시민의식이 높은 국가 - 1위

D18. 주변국 중 시민의식이 높은 국가 - 2위

D18. 주변국 중 시민의식이 높은 국가 - 3위

D18. 주변국 중 시민의식이 높은 국가 - 4위

D18. 주변국 중 시민의식이 높은 국가 - 5위


Part E 삶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E1.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 (7점 척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순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2순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2+3순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2+3+4순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2+3+4+5순위

E3. 삶에 있어서 대졸학력 필요 정도 (7점 척도)

E4. 삶에 있어서 저축 필요 정도 (7점 척도)

E5. 삶에 있어서 보험 필요 정도 (7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1) 집안의 경제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2) 본인의 경제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3) 본인의 학력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4) 본인의 외모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5) 본인의 능력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6) 본인의 인맥 수준 (5점 척도)

E30. 노후에 대한 인식 1) 생산적인 활동을 지속하며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7점 척도)

E30. 노후에 대한 인식 2) 금전적으로 안정된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7점 척도)

E30. 노후에 대한 인식 3) 정신적으로 여유 있는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7점 척도)

E30. 노후에 대한 인식 4) 주변 지인들과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며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1) 혼전동거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2) 비혼주의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3) 딩크족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4) 분자가족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5) 대안교육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6) 비건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7) 비혼출산 (7점 척도)

E27. 가족 제도 변화 동의 정도 1) 가족 호칭 개선 (7점 척도)

E27. 가족 제도 변화 동의 정도 2) 부성 우선 원칙 폐지 (7점 척도)

E27. 가족 제도 변화 동의 정도 3) 동성혼 법제화 (7점 척도)

E31.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 방식을 만나이로 통일하는 것에 동의하는 정도 (7점 척도)

E32. 우리나라의 나이 계산 방식을 만나이로 통일 시, 기대하는 변화 (7점 척도)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직업 (단수)

DQ2. 결혼 여부 (단수)

DQ3. 자녀·손자 여부 (복수)

DQ4. 함께 살고 있는 가족 (복수)

DQ5.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6.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DQ9. 정치성향 (단수)


Contents No DB2022-08호
Summary *본 조사는 만 15~61세의 자아·사회·국가·세계·삶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 세대 간(Z세대, 후기 밀레니얼 세대, 전기 밀레니얼 세대, X세대, 86세대) 비교를 목적으로 함
Project Manager 이재흔 수석연구원(연구책임)
이은재 수석연구원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