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고
- 캐릿

1️⃣ Z세대 81.2%, 최근 6개월 숏폼 플랫폼 이용 경험 있어 |

실제로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지난 7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6개월 내 숏폼 플랫폼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Z세대는 81.2%에 달했습니다. 밀레니얼 세대의 이용률이 69.2%인 것을 감안하면 확연히 높은 수치입니다.
2️⃣ 숏폼 콘텐츠 하루 평균 시청 시간 평일 75.8분, 주말 96.2분 |

3️⃣ 주로 이용하는 플랫폼은 ‘유튜브 쇼츠’...“시청하기 편리해서” |
틱톡의 상승세에 뒤따라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 여러 플랫폼이 숏폼 콘텐츠 시장에 뛰어들었는데요.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플랫폼을 모두 고를 수 있도록 설문했을 때, 유튜브 쇼츠(67.2%), 인스타그램 릴스(51.3%) 모두 절반이 넘는 비율로 나타났습니다. 틱톡 이용 경험률은 22.5%로 다소 낮은 편이었고요.
그중 주로 이용하는 플랫폼 하나만을 꼽은 응답을 살펴보면, 유튜브 쇼츠(58.2%)가 1위를 차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릴스를 주로 이용하는 비율은 28.1%로 나타나 뒤를 이었고, 주로 틱톡을 이용하는 이들은 13.7%로 앞선 두 플랫폼보다는 그 비율이 낮은 편이었습니다.
4️⃣ 쇼츠, 릴스, 틱톡에서 주로 시청하는 콘텐츠 주제 |
유튜브 쇼츠(n=236) | 인스타그램 릴스(n=180) | 틱톡(n=79) | |
1위 | 코미디·개그 56.4% | 연예·아이돌 51.1% | 코미디·개그 50.6% |
2위 | 연예·아이돌 55.5% | 뮤직·댄스 50.0% | 뮤직·댄스 46.8% |
3위 | 게임 51.7% | 반려동물·식물 41.7% | 연예·아이돌 41.8% |
5️⃣ 숏폼 영상보다는 일반 영상 선호 |

대세로 떠오른 숏폼 영상과 숏폼 외 일반 영상 중 Z세대가 어떤 형태를 더 선호하는지도 알아봤어요. 일반 영상을 더 선호하는 비율이 63.5%, 숏폼 영상을 선호하는 비율이 36.5%로 나타나 숏폼보다는 일반 영상의 선호도가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22 MZ세대 숏폼 콘텐츠 시청 및 제작 트렌드 에는 이런 내용이 있어요 |
- 이용해본 숏폼 플랫폼 - 플랫폼별 경험률 및 주 이용률 - 숏폼 콘텐츠 시청 빈도 - 숏폼 콘텐츠 시청 목적·상황·주제 - Z세대가 좋아하는 숏폼 콘텐츠 유형 - 숏폼 플랫폼별 주 이용자 프로파일 - 숏폼 업로더의 제작 행태 : 빈도 및 소요 시간 |
Contents No
CR2022-7호
Summary
일반 영상보다 숏폼 콘텐츠를 선호하는 Z세대가 무려 36.5%
Project Manager
손유빈 에디터
김다희 책임디자이너
김혜리 수석매니저
함지윤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