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주제
발행 연도
~
데이터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정기조사 데이터

[데이터] 음주 정기조사 2025

2025.07.10
345
제공형태
엑셀
판매가
300,000원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다운로드 시작 포함) 또는 열람한 경우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위 파일은 샘플입니다.
아이콘 클릭 시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이용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2024년 1월부터 정기조사 데이터와 기획조사 데이터로 변경되었으며, 본 데이터는 정기조사 데이터입니다.
**2025년 7월 이후 발행되는 연구자료부터 세부 분석 단위 중 ‘기혼무자녀’, ‘기혼유자녀’의 표기를 각각 더 정확한 표현인 ‘기혼부부’, ‘기혼자녀동반’으로 수정합니다.

▶ 연구자료 개편 안내 보기


국내 대표 소주 브랜드인 ‘처음처럼’이 도수를 16.5도에서 16도로 내립니다. 앞서 ‘참이슬 후레쉬’도 같은 결정을 내린 바 있는데요. 이 제품들의 출시 초기 도수가 20도 안팎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지난 20여년 사이 저도수 트렌드가 강화해 온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평소 선호하는 주류 스타일에 대해 응답자 10명 중 6명(61.3%)를 저도수를 더 좋아한다고 답하기도 했어요.

그렇다면 혼술 트렌드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을까요? 최근 3개월 내 음주를 함께 즐긴 대상은 친한 친구(49.9%)와 가족·친척(48.0%), 혼자(45.3%)라는 응답이 비슷한 정도로 높았습니다. 특히 미혼 1인 가구 응답자의 혼술(58.1%) 비율이 두드러졌어요. 50대(50~55세)는 친한 직장 동료(37.9%), 동호회·모임·단체(15.6%)와 음주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비교적 높아, 더 다양한 대상과 음주를 즐기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음주는 내 삶에서 중요한 행복 요소’라는 물음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41.2%)도 연령대 중 가장 높았습니다.

이 밖에도 희석소주, 맥주, 위스키, 와인, 막걸리 등 주류 음용 경험과 음주에 대한 인식, 음주 성향, 주종별 선호 브랜드, 그리고 숙취해소제 섭취 경험 등 전반적인 음주 행태에 대해 확인해 보세요.

✅ 이번 연구자료에서 주목할 만한 데이터는?

 
🍺 홈술 vs 밖술, 평균 주량과 최대 주량 비교
· 집·기숙사 등 주거 공간에서 술을 마시는 경우(홈술)는 1회 평균 소주 5.8잔, 맥주 2.9잔을 마심
· 주거 공간 외에 술을 마시는 경우(밖술)는 소주 7.0잔(1병), 맥주 3.2잔으로, 홈술보다 더 많이 마시는 경향을 보임
· 최대 주량은 평균 소주 8.7잔, 맥주 4.2잔으로 나타났으며, 20대 후반(25-29세)은 최대 소주 2병까지 마신다(24.5%)는 응답이 돋보임
*소주 1병(7잔) = 360mL, 맥주 1잔 = 500mL 기준

🍾 20대가 선호하는 음주 스타일은?
· 20대는 단 맛이 가미된 주류(75.6%)나 탄산감이 있는 주류(72.2%)를 선호하는 비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음
· 여러 주종의 술을 다양하게(33.8%) 즐기거나, 취할 때까지(44.5%) 음주를 즐기는 스타일도 비교적 더 선호함
· 20대 초반(19-24세)은 술자리가 아닌 곳에서 전혀 술을 곁들이지 않는다(41.7%)는 응답이 높은 편임

*본 데이터는 파트 번호 및 문항 번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번호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현재거주지역 (단수)
SQ5. 음주 선호 성향 (단수)
SQ6. 최근 3개월 내 음주 빈도 (단수)
SQ7. 최근 3개월 내 술자리 빈도 (단수)

Part A 음주 실태 전반
A1. 최근 3개월 내 음용 경험 주종 (복수)
A2. 최근 3개월 내 음주 대상 (복수)
A3. [홈술] 주 음용 주종 (복수)
A3. [홈술]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자 구분, 단수)
A3. [홈술] 주 음용 주종 (경험 없음 응답자 제외, 복수)
A3-1. [홈술] 1회 평균 음주량 1) 소주 (단수) *1병(360mL)=7잔
A3-1. [홈술] 1회 평균 음주량 2) 맥주 (단수) *1잔=500mL
A4. [밖술] 주 음용 주종 (복수)
A4. [밖술]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자 구분, 단수)
A4. [밖술] 주 음용 주종 (경험 없음 응답자 제외, 복수)
A4-1. [밖술] 1회 평균 음주량 1) 소주 (단수) *1병(360mL)=7잔
A4-1. [밖술] 1회 평균 음주량 2) 맥주 (단수) *1잔=500mL
A5-1. [혼술] 주 음용 주종 (복수)
A5-2. [혼술] 1회 평균 음주량 1) 소주 (단수) *1병(360mL)=7잔
A5-2. [혼술] 1회 평균 음주량 2) 맥주 (단수) *1잔=500mL
A5-3. [혼술] 음주 장소 (복수)
A5-5. [혼술] 밖에서 마실 때 1회 평균 지출 비용 [단위 : 만 원] (주관식) *한 장소, 한 차수 기준
A5-5. [혼술] 밖에서 마실 때 1회 비용 지출 여부 (없음 응답자 구분, 단수)
A5-5. [혼술] 밖에서 마실 때 1회 평균 지출 비용 [단위 : 만 원] (없음 응답자 제외, 주관식) *한 장소, 한 차수 기준
A6-1. [떼술] 주 음용 주종 (복수)
A6-2. [떼술] 1회 평균 음주량 1) 소주 (단수) *1병(360mL)=7잔
A6-2. [떼술] 1회 평균 음주량 2) 맥주 (단수) *1잔=500mL
A6-3. [떼술] 음주 장소 (복수)
A6-5. [떼술] 밖에서 마실 때 1회 평균 지출 비용 [단위 : 만 원] (주관식) *한 장소, 한 차수 기준
A6-5. [떼술] 밖에서 마실 때 1회 비용 지출 여부 (없음 응답자 구분, 단수)
A6-5. [떼술] 밖에서 마실 때 1회 평균 지출 비용 [단위 : 만 원] (없음 응답자 제외, 주관식) *한 장소, 한 차수 기준
A6-6. [떼술] 밖에서 마실 때 가장 선호하는 술자리 이동 횟수 (단수)
A6-7. [떼술] 밖에서 마실 때 평균 음주 시간대 - 총 시간 (단수)
A6-7. [떼술] 밖에서 마실 때 평균 음주 시간대 - 시작 시간 (단수)
A6-7. [떼술] 밖에서 마실 때 평균 음주 시간대 - 종료 시간 (단수)
A7. 선호 주종 - 1순위
A7. 선호 주종 - 1+2순위
A7. 선호 주종 - 1+2+3순위

Part B 주류별 음용 행태 - 희석소주
B13. [희석소주] 1회 평균 음용량 (단수) *1병(360mL)=7잔
B14. [희석소주] 최근 3개월 내 음용 빈도 (단수)
B18. [희석소주] 최근 3개월 내 음용 경험 브랜드 (복수)
B12. [희석소주] 최선호 브랜드 (단수)

Part C 주류별 음용 행태 - 맥주
C17. [맥주] 1회 평균 음용량 (단수) *1잔=500mL
C18. [맥주] 최근 3개월 내 음용 빈도 (단수)
C22. [국산맥주] 최근 3개월 내 음용 경험 브랜드 (복수)
C15. [국산맥주] 최선호 브랜드 (단수)
C23. [수입맥주] 최근 3개월 내 음용 경험 브랜드 (복수)
C16. [수입맥주] 선호 브랜드 (복수, 최대 5개)
C101. [무알콜·비알콜맥주] 1회 평균 음용량 (단수) *1잔=500mL
C102. [무알콜·비알콜맥주] 최근 3개월 내 음용 빈도 (단수)
C103. [무알콜·비알콜맥주] 한 번 이상 음용 경험 브랜드 (복수)
C104. [무알콜·비알콜맥주] 최선호 브랜드 (단수)

Part D 주류별 음용 행태 - 위스키
D1. [위스키] 1회 평균 음용량 (단수) *1잔=30mL
D11. [위스키] 최근 3개월 내 음용 빈도 (단수)
D13. [위스키] 한 번 이상 음용 경험 브랜드 (복수)
D14. [위스키] 최선호 브랜드 (단수)

Part H 주류별 음용 행태 - 하이볼
H1. [하이볼] 1회 평균 음용량 (단수) *1잔=300mL
H2. [하이볼] 최근 3개월 내 음용 빈도 (단수)
H3. [하이볼] 최근 3개월 내 음용 경험 주종 및 브랜드 (복수)
H4. [하이볼] 선호 주종 및 브랜드 - 1순위
H4. [하이볼] 선호 주종 및 브랜드 - 1+2순위
H4. [하이볼] 선호 주종 및 브랜드 - 1+2+3순위

Part G 주류별 음용 행태 - 와인
G1. [와인] 1회 평균 음용량 (단수) *1잔=120mL
G2. [와인] 최근 3개월 내 음용 빈도 (단수)
G7. [와인] 최근 1년 내 음용 경험 종류 (복수)
G8. [와인] 최선호 종류 (단수)

Part E 주류별 음용 행태 - 기타 주류
E4. [막걸리] 1회 평균 음용량 (단수) *1잔=120mL
E45. [막걸리] 최근 3개월 내 음용 빈도 (단수)
E5. [막걸리] 최근 3개월 내 음용 경험 브랜드 (복수)
E6. [막걸리] 최선호 브랜드 (단수)
E13. 향후 6개월 내 음용 의향 주종 (복수)

Part F 음주 습관, 행태 및 인식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1) 가격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2) 스토리, 역사, 전통성, 제조방법 등 술의 가치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3) 맛, 향 등 품질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4) 전용 잔, 테이블 데코, 패키지 디자인 등 외형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5) 흔하거나 구매 및 음용 간편 등 접근성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6) 잘 알려져 있고 사람들이 많이 먹는 브랜드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7) 환경, 동물, 기부, 공정무역 등 신념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8) 즉각적 만족, 보상 심리 등 소비행위 자체 만족감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9) 취향, 취미, 덕질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10) 재능, 노력, 자립, 혁신성 등에 대한 지지·응원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11) 사회적 이슈에 따른 구매운동·불매운동 실천 우선 (7점 척도)
F1. 제품·브랜드·술집 선택 시 태도 12) 인증하거나 보여줄 만한 가치 우선 (7점 척도)
F2. 평소 선호하는 주류 스타일 1) 단맛 (4점 척도)
F2. 평소 선호하는 주류 스타일 2) 탄산감 (4점 척도)
F2. 평소 선호하는 주류 스타일 3) 도수 (4점 척도)
F3. 평소 선호하는 음주 스타일 1) 주종 혼합 *한 차수 기준 (4점 척도)
F3. 평소 선호하는 음주 스타일 2) 용량 (4점 척도)
F3. 평소 선호하는 음주 스타일 3) 총 음주량 (4점 척도)
F4. 실제 최대 주량 1) 소주 (단수) *1병(360mL)=7잔
F4. 실제 최대 주량 2) 맥주 (단수) *1잔=500mL
F5. 평소 음주 방식별 빈도 1) 술자리 외 음주 (단수)
F5. 평소 음주 방식별 빈도 2) 늦은 시간 음주 (단수)
F5. 평소 음주 방식별 빈도 3) 과음 (단수)
F6. 음주 관련 인식 및 태도 1) 새로운 술을 최대한 빨리 맛봄 (5점 척도)
F6. 음주 관련 인식 및 태도 2) 술보다 술안주가 더 끌림 (5점 척도)
F6. 음주 관련 인식 및 태도 3) 술보다 사람이나 대화 주제가 끌림 (5점 척도)
F6. 음주 관련 인식 및 태도 4) 음주는 내 삶에서 중요한 행복 요소 (5점 척도)
F7. [숙취해소제] 최근 1년 내 음주 시 섭취 빈도 (단수)
F29. [숙취해소제] 제품/브랜드 섭취 경험 (복수)
F30. [숙취해소제] 최선호 제품/브랜드 (단수)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직업 (단수)
DQ5. 결혼 여부 (단수)
DQ2. 함께 살고 있는 구성원 (복수)
DQ3.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4.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Contents No 정기조사 데이터_2025_F_01_01
Summary 본 조사는 19~55세의 음주 행태 및 인식, 소비 성향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함
Project Manager 김유라 연구원 (연구책임)
지승현 선임연구원

관련 콘텐츠

패키지 상품으로 구매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패키지 상품 보기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