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데이터베이직
[데이터베이직] 관계·커뮤니케이션(2022년 5월)
2022.05.25 3,544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샘플 파일입니다.

*데이터베이직은 ‘성별, 연령, 세대별’ 비교 결과를 포함하지만, 본 조사는 ‘성별, 세대별’ 비교 결과만을 포함함


세대별 소통 방식과 관계에 대한 인식을 보다 면밀하게 확인하기 위해, ‘관계·커뮤니케이션’ 조사를 신설하여 진행했습니다. 세대별로 소통 방식에 눈에 띄는 차이가 나타났는데요. 친구와 소통 시 Z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SNS 메시지·채팅을 이용하는 비율이 52.5%로 높았으며, 전기 밀레니얼모바일 메신저(80.4%)를 많이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Z세대는 친구와 교류할 때, 함께 사진·영상을 찍고 업로드하는 SNS 활동도 비교적 활발했습니다. 친구와의 SNS 활동 경험률은 Z세대 70.8%, 후기 밀레니얼 64.6%, 전기 밀레니얼 56.7%, X세대 52.5%, 86세대 54.2%로 Z세대에서 특히 두드러졌습니다. Z세대 54.6%친구와 유행하는 필터로 사진을 촬영하고, 35.4%가 이를 SNS에 업로드했다고 답했으며, 친구와 함께 유행하는 SNS 챌린지를 따라해본 경험도 16.3%로 나타났습니다.


이외에도 본 조사[관계·커뮤니케이션(2022년 5월)]에서는 세대별 부모, 자녀, 친구, 연인·애인과의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가족관, 연애관, 결혼관 등 관계에 대한 가치관 전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반려동물에 대한 데이터도 함께 담았으며, 반려동물 관련 경험펫프렌들리 서비스에 대한 인식까지 상세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재흔 수석연구원


*기존 가치관·관계(2021년 6월) 조사에서 '관계 가치관'과 '커뮤니케이션 행태' 관련 내용을 분리하여 관계·커뮤니케이션 조사를 신설했습니다.
  기존 가치관·관계(2021년 6월) 조사 Part B와 Part D의 관계 관련 일부 문항을 참고하여 목적에 맞게 재구성했으며, 그 외 모든 문항이 신설되었습니다.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현재거주지역 (단수)

Part A 가족(부모·자녀·반려동물)과의 커뮤니케이션 행태 및 관계에 대한 인식
A1. 가족으로 생각하는(생각할 수 있는) 관계의 유형 (복수)
A2. 평소 부모님과 소통·교류한 방식 (복수)
A3. 부모님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순위
A3. 부모님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순위
A3. 부모님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3순위
A4. 부모님과 소통 빈도 

1) 음성통화 (단수)
2) 모바일 메신저 (단수)
3) SNS 메시지·채팅 (단수)
4) 영상 통화 (단수)
5) 식사 (단수)
6) 여가·취미활동 (단수)

A5. 부모님과 소통 시 이야기 주제 (복수)
A5. 부모님과 소통 여부 (소통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A5. 부모님과 소통 시 이야기 주제 (소통하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A6. 부모님과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복수)
A6. 부모님 관련 SNS 활동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6. 부모님과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7. 부모님과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 (복수)
A7. 부모님 관련 SNS 활동 의향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7. 부모님과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8. 평소 자녀와 소통·교류한 방식 (복수)
A9. 자녀와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순위
A9. 자녀와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순위
A9. 자녀와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3순위
A10. 자녀와 소통 빈도 

1) 음성통화 (단수)
2) 모바일 메신저 (단수)
3) SNS 메시지·채팅 (단수)
4) 영상 통화 (단수)
5) 식사 (단수)
6) 여가·취미활동 (단수)

A11. 자녀와 소통 시 이야기 주제 (복수)
A11. 자녀와 소통 여부 (소통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A11. 자녀와 소통 시 이야기 주제 (소통하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A12. 자녀와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복수)
A12. 자녀 관련 SNS 활동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2. 자녀와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3. 자녀와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 (복수)
A13. 자녀 관련 SNS 활동 의향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3. 자녀와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4. 부모가 자녀의 사진·영상을 온라인 채널에 업로드할 때 허용 가능한 범위
A15. 가족과 함께 챙기는 기념일 (복수)
A15. 가족과 기념일을 함께 챙기는 지 여부 (기념일을 챙기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A15. 가족과 함께 챙기는 기념일 (기념일을 챙기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A16. 가족과 함께 여가 시간을 보내는 방식 (복수)
A16. 가족과 여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지 여부 (여가 시간을 보내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A16. 가족과 함께 여가 시간을 보내는 방식 (여가 시간을 보내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A17. 가족의 의미가 유지되기 위해서 중요한 조건 - 1순위
A17. 가족의 의미가 유지되기 위해서 중요한 조건 - 1+2순위
A17. 가족의 의미가 유지되기 위해서 중요한 조건 - 1+2+3순위
A18. 가족과의 친밀도 

1) 할아버지(조부) (7점 척도)
2) 할머니(조모) (7점 척도)
3) 아버지 (7점 척도)
4) 어머니 (7점 척도)
5) 남자형제(형·오빠·남동생) (7점 척도)
6) 여자형제(언니·누나·여동생) (7점 척도)
7) 배우자 (7점 척도)
8) 자녀 (7점 척도)
9) 손주 (7점 척도)

A19. 부모님과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복수)
A19. 부모님과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 (공유할 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9. 부모님과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공유할 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0. 부모님에 대한 인식 

1) 나는 부모님을 존중한다 (7점 척도)
2) 나는 부모님을 신뢰한다 (7점 척도)
3) 나는 부모님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A21. 나에 대한 부모님의 인식 

1) 부모님은 나를 존중한다 (7점 척도)
2) 부모님은 나를 신뢰한다 (7점 척도)
3) 부모님은 나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A22. 자녀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복수)
A22. 자녀와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 (공유할 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22. 자녀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공유할 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3. 자녀에 대한 인식 

1) 나는 자녀를 존중한다 (7점 척도)
2) 나는 자녀를 신뢰한다 (7점 척도)
3) 나는 자녀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A24. 나에 대한 자녀의 인식 

1) 자녀는 나를 존중한다 (7점 척도)
2) 자녀는 나를 신뢰한다 (7점 척도)
3) 자녀는 나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A25. 부모의 노후 부양을 책임져야하는 정도 (단수)
A26. 향후 자녀에게 기대하는 노후 부양의 정도 (단수)
A27. 자녀에게 해야 하는 경제적인 지원의 정도 (복수)
A27. 자녀 경제적 지원 의향 (경제적 지원 해줄 필요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27. 자녀에게 해야 하는 경제적인 지원의 정도 (경제적 지원 해줄 필요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8. 전반적인 가족 관계 만족도 (7점 척도)
A29. 가족 관계 중요도 (7점 척도)
A30. 가족 관계 유지 노력 정도 (7점 척도)
A31. 가족 관계를 유지 하기 위한 노력 (복수)
A32. 현재 기르고 있는 반려동물 종류 (복수)
A33. 현재 기르고 있는 반려동물의 수 (주관식, 단위: 마리)
A34. 반려동물을 기르는 데 투자하는 한달 평균 비용 (주관식, 단위: 만 원)
A35.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해본 활동 (복수)
A35. 반려동물 관련 활동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35.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해본 활동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36.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활동 (복수)
A36. 반려동물 관련 활동 의향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36.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활동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37.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복수)
A37. 반려동물 관련 SNS 활동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37.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38.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복수)
A38. 반려동물 관련 SNS 활동 의향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38.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39. 반려동물 장례 서비스 필요도 (7점 척도)
A40. 반려동물 장례 서비스 이용 및 비용 지불 의향 (단수)
A40. 반려동물 장례 서비스 이용 의향 (이용 의향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40. 반려동물 장례 서비스 비용 지불 의향 (이용 의향 없음 응답 제외, 단수)
A41. 펫프렌들리 공간 이용 경험 (복수)
A41. 펫프렌들리 공간 이용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41. 펫프렌들리 공간 이용 경험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42. 펫프렌들리 공간에 대한 인식 

1) 펫프렌들리 공간이 더 늘어나야 한다 (7점 척도)
2) 펫프렌들리 공간이 많은 사회가 선진 사회라고 생각한다 (7점 척도)
3) 펫프렌들리 정책을 시행하는 브랜드·매장을 더 적극적으로 이용할 의향이 있다 (7점 척도)

A43.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1) 반려동물이 배우자를 대체할 수 있다 (7점 척도)
2) 반려동물이 자녀를 대체할 수 있다 (7점 척도)


Part B 친구와의 커뮤니케이션 행태 및 관계에 대한 인식
B1. 친구로 생각하는(생각할 수 있는) 관계의 유형 (복수)
B2. 친구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수 (주관식, 단위: 명)
B3. 친한 친구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수 (주관식, 단위: 명)
B4. 평소 가까운 친구·지인과 소통·교류한 방식 (복수)
B5. 가까운 친구·지인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순위
B5. 가까운 친구·지인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순위
B5. 가까운 친구·지인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3순위
B6. 친구와 소통 빈도 

1) 음성통화 (단수)
2) 모바일 메신저 (단수)
3) SNS 메시지·채팅 (단수)
4) 영상 통화 (단수)
5) 만남 (단수)

B7. 친구와 소통 시 이야기 주제 (복수)
B7. 친구와 소통 여부 (소통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B7. 친구와 소통 시 이야기 주제 (소통하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B8. 친구와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복수)
B8. 친구 관련 SNS 활동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B8. 친구와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B9. 친구와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 (복수)
B9. 친구 관련 SNS 활동 의향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구분, 단수)
B9. 친구와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B10. 친구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복수)
B10. 친구와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 (공유할 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B10. 친구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공유할 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B11. 친구에 대한 인식 - 나는 친구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B12. 친구에 대한 인식 

1) 연인·애인이 없어도 친구가 있다면 충분하다 (7점 척도)
2) 결혼하지 않아도 친구가 있다면 충분하다 (7점 척도)

B13. 전반적인 친구 관계 만족도 (7점 척도)
B14. 친구 관계 중요도 (7점 척도)
B15. 친구 관계 유지 노력 정도 (7점 척도)
B16. 친구 관계 확장 노력 정도 (7점 척도)
B17. 친구 관계 축소 필요 정도 (7점 척도)

Part C 온라인 친구와의 커뮤니케이션 행태 및 관계에 대한 인식
C1. 온라인에서 소속감을 느끼는 관계 (복수)
C1. 온라인에서 교류하는 관계 보유 여부 (온라인에서만 교류하는 관계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1. 온라인에서 소속감을 느끼는 관계 (온라인에서 교류하는 관계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2. 온라인에서 교류하는 관계의 성격 (복수)
C2. 온라인에서 교류하는 관계 보유 여부 (온라인에서만 교류하는 관계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2. 온라인에서 교류하는 관계의 성격 (온라인에서만 교류하는 관계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 오프라인 친구와 온라인 친구의 친밀감 수준 비교 (7점 척도)
C4. 오프라인 친구와 온라인 친구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7점 척도)
C5. 온라인을 통해서만 교류하는 인간관계와 오프라인 교류 의향 (7점 척도)
C6. 개인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유형 (복수)
C6. 개인 SNS 이용 여부 (이용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C6. 개인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유형 (이용하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C7. 익명 온라인 소통 채널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유형 (복수)
C7. 익명 온라인 소통 채널 이용 여부 (이용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C7. 익명 온라인 소통 채널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유형 (이용하지 않음 응답 구분, 복수)

Part D 연인·애인과의 커뮤니케이션 행태 및 관계에 대한 인식
D1. 연애 경험 및 현재 연애 중 여부 (단수)
D2. 지금까지 연애 경험 횟수 (주관식, 단위: 회)
D3. 가장 짧은 연애 기간 (단수)
D4. 가장 긴 연애 기간 (단수)
D5. 마지막 연애 부터 연애를 하지 않은 기간 (단수)
D6. 현재 배우자와의 연애 기간 (단수)
D7. 연인·애인을 만난 경로 (복수)
D8. 현재 배우자를 만난 경로 (단수)
D9. 연인·애인 관계 시작 시, 먼저 고백한 사람 (단수)
D10. 주로 경험한 고백 방식 (복수)
D11. 평소 연인·애인과 소통·교류한 방식 (복수)
D12. 연인·애인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순위
D12. 연인·애인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순위
D12. 연인·애인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3순위
D13. 연인·애인과 소통 빈도 

1) 음성통화 (단수)
2) 모바일 메신저 (단수)
3) SNS 메시지·채팅 (단수)
4) 영상 통화 (단수)
5) 만남 (단수)

D14. 연인·애인과 소통 시 이야기 주제 (복수)
D14. 연인·애인와 소통 여부 (소통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D14. 연인·애인과 소통 시 이야기 주제 (소통하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D15. 연인·애인에 대한 인식 - 나는 연인·애인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D16. 연인·애인과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복수)
D16. 연인·애인 관련 SNS 활동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16. 연인·애인과 관련하여 해본 SNS 활동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17. 연인·애인과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 (복수)
D17. 연인·애인 관련 SNS 활동 의향 여부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17. 연인·애인과 관련하여 해보고 싶은 SNS 활동 (해보고 싶은 활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18. 연인·애인과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복수)
D18. 연인·애인과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 (공유할 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18. 연인·애인과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공유할 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19. 선호하는 연인·애인을 만나는 경로 (복수)
D20. 적당한 서로를 알아가는 기간(썸타는 기간) 정도 (단수)
D21. 선호하는 고백 주체(먼저 고백하는 사람) (단수)
D22. 선호하는 고백 방식 - 1순위
D22. 선호하는 고백 방식 - 1+2순위
D22. 선호하는 고백 방식 - 1+2+3순위
D23. SNS 메신저를 통해 호감가는 사람과 연락한 경험 (복수)
D23. SNS 메신저를 통해 호감가는 사람과 연락한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23. SNS 메신저를 통해 호감가는 사람과 연락한 경험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복수)
D24. 소개팅 앱을 통해 호감가는 사람과 연락한 경험 (복수)
D24. 소개팅 앱을 통해 호감가는 사람과 연락한 경험 여부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24. 소개팅 앱을 통해 호감가는 사람과 연락한 경험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복수)
D25. 이용해 본 소개팅 앱 (복수)
D26. 결혼 정보 회사 이용 경험 (단수)
D27. 이용해 본 결혼 정보 회사 (복수)
D28. SNS를 통한 만남에 대한 인식 

1)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를 통해 만나 연애하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2)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를 통해 만난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 (7점 척도)

D29. 소개팅 앱을 통한 만남에 대한 인식

1) 소개팅 앱을 통해 만나 연애하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2) 소개팅 앱을 통해 만난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 (7점 척도)

D30. 결혼 정보 회사를 통한 만남에 대한 인식 

1) 결혼 정보 회사를 통해 만나 연애하는 것이 괜찮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2) 결혼 정보 회사를 통해 만난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 (7점 척도)

D31. 연인·애인과 적정한 소통 빈도 

1) 음성통화 (단수)
2) 모바일 메신저 (단수)
3) SNS 메시지·채팅 (단수)
4) 영상 통화 (단수)
5) 만남 (단수)

D32. 적정한 데이트 비용 부담 비율 

1) 본인 부담 비율 (단위:%)
2) 상대방 부담 비율 (단위:%)

D33. 연인·애인과의 사진이나 일상을 SNS에 인증할 때 적정한 범위 (단수)
D34. 연인·애인의 행동 수용 가능 정도 

1) 술 (7점 척도)
2) 담배 (7점 척도)
3) 문신 (7점 척도)
4) 동거 경험 (7점 척도)

D35. 수용할 수 있는 이별 방법 (복수)
D36. 전반적인 연인·애인 관계 만족도 (7점 척도)
D37. 연인·애인 관계 중요도 (7점 척도)
D38. 삶에 있어서 연애 필요 정도 (7점 척도)
D39. 연애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순위
D39. 연애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2순위
D39. 연애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2+3순위
D39. 연애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2+3+4순위
D39. 연애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2+3+4+5순위
D40. 결혼 의향 (단수)
D41. 삶에 있어서 결혼 필요 정도 (7점 척도)
D42. 결혼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순위
D42. 결혼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2순위
D42. 결혼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2+3순위
D42. 결혼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2+3+4순위
D42. 결혼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 1+2+3+4+5순위
D43. 삶에 있어서 자녀 필요 정도 (7점 척도)

Part E 전반적인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
E1. 전반적인 인간관계 만족도 (7점 척도)
E2. 인간관계 중요도 (7점 척도)
E3. 인간관계 유지 노력 정도 (7점 척도)
E4. 인간관계 확장 노력 정도 (7점 척도)
E5. 인간관계 축소 필요 정도 (7점 척도)
E6.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 (7점 척도)
E7. 주로 어려움을 느끼는 관계의 유형 - 1순위
E7. 주로 어려움을 느끼는 관계의 유형 - 1+2순위
E7. 주로 어려움을 느끼는 관계의 유형 - 1+2+3순위
E7. 주로 어려움을 느끼는 관계의 유형 - 1+2+3+4순위
E7. 주로 어려움을 느끼는 관계의 유형 - 1+2+3+4+5순위
E8. 인간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정도 (7점 척도)
E9.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한 노력 (복수)
E10. 인간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해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의향 정도 (7점 척도)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결혼 여부 (단수)
DQ2. 현재 가족 구성원 (복수)
DQ3. 자녀 연령대 (단수)
DQ4. 함께 살고 있는 가족 (복수)
DQ5. 현재 직업 (단수)
DQ6.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7.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DQ8. 이용하는 SNS (복수)
DQ9. 가장 많이 이용하는 SNS (단수)





Contents No
DB2022-07호

Summary
*본 조사는 만 15~61세의 부모·자녀·친구·연인 간 커뮤니케이션 행태 및 관계 가치관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 세대 간(Z세대, 후기 밀레니얼 세대, 전기 밀레니얼 세대, X세대, 86세대) 비교를 목적으로 함

Project Manager
이재흔 수석연구원 (연구책임)
지승현 수석연구원

판매가 : 200,000
  • 주의
    사항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 본 콘텐츠는 대학내일20대연구소에서 서비스하는 콘텐츠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창작물입니다.
    무단 복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시에는 저작권 및 재산권 침해 등의 항목으로 사전 경고 없이 형사 고발 조치됨을 알려드립니다.

  • 할인
    혜택

    대학생 50% 할인 (학교 이메일 인증 필수)
    멤버십 가입 시, 멤버십 기간 내 모든 연구자료를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